
[데일리매거진=소태영 기자] 서울의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 일반분양 물량의 비중이 작년보다 22.5%포인트가량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소형아파트의 희소가치도 높아질 전망이다.
6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올해 서울에서 분양했거나 분양할 예정인 아파트(분양 단지 포함)는 총 2만4132가구(일반분양 기준)로, 이 중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은 전체 물량의 5.3%인 1290가구로 집계됐다. 지난해 서울에서 공급된 전체 일반분양 물량(1만4913가구) 중 소형 아파트는 27.8%(4150가구)였다.
서울 분양시장에서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 아파트의 비율이 10%대 밑으로 떨어진 것은 2007년 이후 10년만에 처음이다.
올해 서울 소형 아파트 일반분양 물량이 예년보다 급감한 것은 작년 3월부터 재건축 사업에 대한 소형주택(전용면적 60㎡ 이하) 의무공급비율이 폐지된 것이 주된 요인 중 하나라고 부동산 업계는 전했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 분양시장은 현재 재건축 물량이 주를 이루고 있고 소형주택 의무공급비율이 폐지되면서 상대적으로 수익성이 낮은 소형 아파트 공급도 적어지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삼성물산이 이달 분양하는 '래미안 블레스티지'는 개포주공 2단지를 재건축한 아파트인데,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은 전체 일반분양 물량 396가구 중 102가구에 불과하다.
올해 공급되는 서울의 소형 아파트 물량은 줄었지만 1∼2인 가구가 늘어난데다 주택시장이 실수요자 중심으로 개편되고 주택 가격도 오르면서 가격 부담이 덜한 소형 아파트의 인기는 여전하다.
한편 과거 중대형 아파트를 선호하던 조합원들이 점차 중소형 아파트로 몰리면서 소형 아파트 일반분양 물량이 줄어든 것도 올해 서울 분양시장에서 소형 아파트 물량이 감소한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고 있다.
[사진=MBC]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