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전성진 기자] 전체 산업생산이 한 달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2월의 전체 산업생산은 전월보다 0.8% 증가했다. 작년 10월(-0.8%)과 11월(-0.5%) 연속 감소했던 전체 산업생산은 12월 1.5% 반등했지만 올 1월 감소세(-1.5%)로 바뀐 이후 한 달 만에 다시 증가한 수치다.
갤럭시 S7, LG G5 등 휴대전화 신제품이 출시되고 반도체 수출 물량이 늘어 3.3% 증가한 광공업 생산이 전체 산업생산 반등을 이끌었다. 광공업 생산이 이처럼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2009년 9월(3.7%) 이후 6년 5개월 만에 처음이다.
특히 반도체(19.6%)와 금속가공(12.5%) 생산이 큰 폭으로 늘었다.
생산 호조에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1.2%포인트 상승한 73.5%를 나타냈다.
그러나 제조업 재고율은 128.0%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올해 1월 재고율은 128.5%로 글로벌 금융위기가 있었던 2008년 12월 이후 7년 만에 최고치였는데, 2월 재고율은 이보다 0.5%포인트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협회·수리·개인 서비스업(6.8%), 운수(2.5%) 등이 늘어 0.3% 증가했다.
생산이 좋았지만 일부 품목에 의한 것인데다 소비, 투자는 올해 들어 계속해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소비동향을 볼 수 있는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1.8% 줄었다. 1월(-1.3%)보다 감소 폭이 확대됐다.
개별소비세가 재인하된 승용차 등 내구재(3.6%)가 늘어난 반면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4.4%)와 의복 등 준내구재(-2.1%)가 줄어든 영향이다.
2월 승용차 판매는 전월보다 7.9% 증가했다.
통계청은 "올해 설 명절이 2월 초에 있었기 때문에 명절 소비가 일부 1월에 이뤄지면서 2월 소매판매가 감소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설비투자(-6.8%)도 두 달 연속 줄었다. 지난달 감소 폭은 2014년 8월(-7.3%) 이후 1년 6개월 만에 가장 크다.
공공부문(80.9%)과 민간(17.0%)에서 수주가 동시에 늘어 국내 기계수주는 21.8% 증가했다.
이미 이뤄진 공사 실적을 의미하는 건설기성은 건축(2.1%)과 토목공사(0.8%) 실적이 늘어 전월보다 1.7% 증가했다.
건설수주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85.3% 증가했다.
현재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1포인트 하락했다. 앞으로의 경기국면을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1포인트 떨어졌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