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세월호 참사 2주기 추모제에 참석한 시민들 [ⓒ데일리매거진]
[데일리매거진=송하운 기자] 세월호 참사 2주기인 어제(16일) 서울 광화문 광장과 경기도 안산 등 곳곳에서 추모 행사가 열렸다.
'416가족협의회'와 '4월16일의 약속 국민연대'는 이날 광화문 광장에서 '세월호 참사 2년 기억·약속·행동 문화제'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유가족 100여명과 함께 이른바 '세월호 변호사'로 활동하고 있는 박주민 더불어민주당 20대 국회의원 당선인과 같은 당 표창원 도종환 당선인, 정의당 이정미 당선인, 시민 1만2000여명이(경찰추산 4500여명) 참석했다.
참가자들은 문화제에서 세월호특별법 개정과 특검 실시, 진상규명, 미수습자 시신 수습 등을 정부에 요구했으며, 유경근 4·16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은 이 같은 요구사항의 관철을 약속한 20대 총선 당선인들에 대해 약속을 지켜달라고 촉구했다.
박 당선인은 행사에서 "세월호 추모공원도 단 한삽도 뜨지 못했다. 트라우마 센터는 오히려 축소되고 있다. 정부의 약속은 단 하나도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 "세월호 참사는 사람의 생명이나 안전보다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문화와 국민이 위험에 빠졌을 때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국가, '기레기'라 불린 쓰레기 같은 언론, 진실을 밝히기는 커녕 국가 눈치를 보는 수사기관 등 적폐와 병폐가 압축적으로 표출된 참사"였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런 문제가 유지된다면 세월호 참사는 언제 어디서나,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아주 보편적인 일, 바로 우리들의 일"이라고 비판과 경고의 목소리를 높였다.
단원고 희생자 예은양의 아버지인 유경근 416가족협의회 집행위원장도 무대에 올라 "오늘 강한 비바람이 마치 제게 곧 닥칠 시련같다"며 "어떤 시련이 닥치더라도 함께 버티며 이겨낼 수 있겠느냐"고 시민들에게 물었다.
▲사진=세월호 참사 2주기 추모제에 참석한 시민들 [데일리매거진ⓒ]
문화제 중 시민들은 종종 '특별법을 개정하라', '특조위 기간 강제 종료 협박 말라'고 외치기도 했다.
한편 광화문 등에서 각종 노래공연과 플래시몹 등으로 진행된 이날 문화제 본 행사는 오후 7시부터 9시30분까지 질서 정연한 가운데서 평화적으로 이어졌다. 경찰은 66개 중대 5300여명을 행사장 인근에 배치했으나 시민들과의 충돌은 없었다.
이날 안산 합동분향소에서는 오전 10시부터 2시간 동안 416가족협의회 주최로 세월호 참사 2년 '기억식'이 진행됐으며, 3000여명의 추모객들이 줄을 이었다. 추모객들은 오후 1시부터 3시간 동안 열린 416걷기 '진실을 향한 걸음' 행사에도 참석했다. 광화문에 마련된 분향소에는 시민 1만 여명의 헌화가 이날 자정까지 계속됐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