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김태희 기자] 정부가 조선·해운·건설·철강·석유화학 등 5개 취약 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0일 각 정부부처와 산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금융위원회 주도로 '제3차 산업경쟁력 강화 및 구조조정 협의체' 회의를 열고 경기민감산업의 구조조정 현황을 점검하고 추가 취약업종 지정을 논의한다.
협의체는 임종룡 금융위원장을 비롯해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취약산업 주무부처 차관급 및 금융감독원, 국책은행 등 관련기관 부기관장이 참석한다.
정부는 3차 협의체 회의를 앞두고 최근 해당부처 국장들이 참석하는 구조조정협의체 실무회의를 두 차례 진행한 바 있다. 본회의의 논의 방향을 결정하는 이 자리에서 참석자들은 5개 업종 외에 추가로 구조조정 대상에 포함시켜야 할 부실 업종이 있는지를 점검했다.
범정부 협의체는 이번 회의에서 앞서 발표한 5대 취약업종의 구조조정 진행 상황을 재점검하는 한편, 상황변화를 반영해 필요 시 추가 보완대책을 내놓을 예정이다.
또한 산업별 분석을 토대로 부채비율이 높거나 공급과잉 상태에 빠진 업종을 분석해 필요 시 취약업종으로 추가 분류하고 채권단 신용위험평가에 참고자료로 활용하게 할 방침이다.
시장에서는 디스플레이 업종 등이 일부 공급과잉을 해소할 필요가 있는 분야로 거론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한편 지난해 실시한 수시 신용위험평가 결과, 저유가 영향 등을 고려해 전자와 디스플레이 산업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봤지만 구조조정 방안을 논의할 단계는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도 최근 "공급 과잉업종과 취약업종의 구조조정을 더는 미룰 수 없다. 직접 챙기겠다"고 말해 구조조정이 속도를 내도록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