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건설업체 산재 예방활동 불량 평가"

경제 / 이재만 기자 / 2016-07-22 13:18:36
"재해율, GS건설(주), ㈜부영주택, 쌍용건설(주) 순으로 높아"

2016-07-22 13;18;52.JPG


▲사진=고용노동부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고용노동부의 건설업체(시공능력평가액 1,000위 이내) 및 건설공사를 발주하는 주요 공공기관의 ’15년도 산업재해 조사결과, 대형 건설업체 중 환산재해율이 낮은 업체는 ㈜한화건설, 현대엔지니어링(주), 대림산업(주) 순이며, 높은 업체는 GS건설(주), ㈜부영주택, 쌍용건설(주) 순으로 나타났다.


또 상위 100대 건설업체 중에서는 한진중공업, 케이알산업, 삼환기업, CJ건설, 원건설 등은 산재 예방활동이 우수한 반면, 삼부토건, 진흥기업, 한림건설, 반도건설, 삼성중공업 등은 불량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21일 고용노동부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15년도 1,000대 건설업체의 평균 환산재해율은 0.51%로 전년도 0.45%에 비해 0.06%p 높게 나타났으며, 최근 5년간 환산재해율 조사결과 가장 높은 수치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산재해율은 ‘15년도에 조사대상 건설업체가 시공한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산업재해자를 파악하여, 사망자는 일반재해자의 5배 가중치를 부여하고, 하청업체 재해자는 원청업체에 포함하여 산정된다.


건설업체 규모별로는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높은 건설업체일수록 환산재해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대형 건설업체 중 환산재해율이 낮은 업체는 ㈜한화건설, 현대엔지니어링(주), 대림산업(주) 순이며, 높은 업체는 지에스건설(주), ㈜부영주택, 쌍용건설(주)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결과 재해율이 낮은 업체는 사업장 감독을 유예받고, 재해율이 높은 업체는 정기감독(‘16년 8월~9월)을 받게 된다.

222.JPG
▲사진=고용노동부


또 고용노동부는 건설업체 산업재해예방활동 실적이 우수한 업체와 불량한 업체도 공개하였다.


공개자료에 따르면 상위 100대 건설업체 중에서는 한진중공업, 케이알산업, 삼환기업, CJ건설, 원건설 등 산재 예방활동이 우수했다. 반면에 삼부토건, 진흥기업, 한림건설, 반도건설, 삼성중공업 등은 불량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실적 평가결과 1군(0.6점), 2군(0.4점), 3군(0.4점), 4군(0.2점)으로 시공능력평가 순위가 높은 건설업체들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산업재해예방활동 실적 평가는 산재은폐 개선대책의 일환으로 작년부터 도입되어 건설공사 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PQ, Pre-Qualification)시 환산재해율 점수(1점)와 함께 재해예방활동 실적(1점)이 반영된다.


한편, 2015년 공공 발주기관의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재해율과 사망만인율은 각각 0.41%, 1.86%,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이나, 최근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발주기관 중 재해율 및 사망만인율이 가장 낮은 기관은 인천항만공사이고 가장 높은 기관은 한국철도공사이며, 이번 조사결과는 공공기관 경영실적 평가 보고서(기관장 책임경영 분야)에 반영되어 발주기관이 건설업체의 안전보건활동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밝혔다.


박화진 산재예방보상정책국장은 “건설재해 감소를 위해 원청인 건설업체가 하청 근로자의 사고예방을 위하여 안전·보건조치를 취해야 할 장소를 추락위험 등 현행 20개소에서 모든 장소로 확대하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발주자에게도 건설공사를 분리 발주 시 안전보건 업무를 총괄·조정하는 안전보건조정자를 선임토록 법 개정을 추가로 추진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