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부산항에서 수출입 화물 실은 컨테이너선 [제공/연합뉴스] |
정부는 올해 중 경제정책 방향을 '물가 안정'에서 '경기 대응'으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을 천명했다.
1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정부는 현시점에서 물가 안정을 최우선에 두고 경제정책을 펼치고 있다. 경기 둔화가 본격화하고 있으나 아직은 물가를 잡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판단에서다.
그러나 정부는 올해 안에 물가가 어느 정도 잡히면 경기 대응 '총력전'으로 정책 방향을 바꿀 채비도 하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10일 편집인협회 월례포럼에서 "아직은 물가 안정 기조를 흐트러뜨려선 안 된다"면서도 "만약 물가 안정 기조가 확고히 간다면 모든 정책 기조를 경기 대응 쪽으로 전환 시켜야 한다"고 밝혔다.
추 부총리가 밝힌 것처럼 정책 전환의 '터닝 포인트' 시점은 물가 상승률 둔화 정도에 달려 있다.
정부는 전년 동월 대비로 1월 5.2%를 기록한 물가 상승률이 서서히 진정돼 상반기 중에는 4%대로 내려가고 하반기, 특히 후반부에는 3%대까지 둔화할 것으로 예상한다.
지금 경기 부양책을 쓴다면 5%대의 고물가를 자극할 우려가 크지만, 물가 상승률이 4% 아래로 내려가 어느 정도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면 적극적인 경기 대응에 나설 수 있을 것이라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물가가 정부의 예상 경로대로 움직이면 올해 상반기 종료 시점이나 하반기 초입에는 경제정책의 방향 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재부 관계자는 "'물가가 어느 선까지 가면 정책을 전환하겠다'는 시점을 구체적으로 결정해놓은 것은 아니지만, 물가·고용 등 각종 지표를 고려하면 하반기에는 경기 대응에 더 무게를 둘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