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업계로선 먹구름이 다소 걷혔다는 평가
![]() |
| ▲ 사진=평택항에서 수출 대기 중인 자동차 [제공/연합뉴스] |
한미 관세협상 세부 합의로 대미 자동차 수출 관세 인하가 재확인되면서 국내 자동차 업계는 안도하는 분위기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9일 브리핑에서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는 자동차 관세가 25%에서 15%로 인하된다고 발표했다.
김 실장은 "우리나라의 대미 최대 수출 품목인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25%에서 일본, 유럽연합(EU)과 동일한 수준으로 인하해 불리하지 않은 경쟁 여건을 확보했다"면서 "자동차 부품 관세도 15%로 인하된다"고 말했다.
한국은 지난 7월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방안을 미국과 합의했지만, 후속 협의에 난항을 겪어 여전히 25%를 적용받는 상황이었다.
그로부터 약 3개월 만에 관세 인하가 현실화할 것으로 보이면서 현대자동차그룹을 비롯한 국내 업계는 수익성 악화 장기화를 면하게 됐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의 관세 비용은 관세율 25%일 땐 8조4천억원에 이르지만 15%로 인하될 경우 5조3천억원으로 줄어들다.
이번 관세 인하 합의로 현대차그룹의 부담 비용이 3조1천억원 줄어드는 셈이다.
현대차·기아가 자동차 관세로 2분기 영업이익에서 본 손해는 총 1조6천142억원으로 현대차 영업이익은 작년 동기보다 15.8%, 기아는 24.1% 감소했다.
3분기 합산 관세 비용은 2조원대로 추정된다.
현대차그룹은 이날 "어려운 협상 과정을 거쳐 타결에 이르기까지 헌신적으로 노력한 정부에 감사드린다"며 "현대차·기아는 앞으로도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 방안을 추진하는 동시에 품질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와 기술 혁신 등으로 내실을 더욱 다지겠다"고 밝혔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