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의 아파트 [제공/연합뉴스] |
지난해 서울 18개 구 가운데 도봉구, 구로구, 은평구 등 3곳을 제외한 15곳의 민간 아파트 평균 분양가는 3.3㎡당 3천만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가 부동산R114 자료를 토대로 민간 아파트 분양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서울에서 분양한 민간 아파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3천508만원이었다.
중구, 종로구, 강남구, 서초구, 노원구, 중랑구, 금천구 등 7곳에서는 지난해 분양이 전무해 집계에서 제외됐다.
민간 아파트가 분양된 자치구 중 용산구의 평균 분양가는 4천455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마포구(4천436만원), 양천구(4천319만원), 광진구(4천185만원), 동작구(4천18만원) 등이 4천만원 이상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성동구(3천976만원)는 4천만원에 육박했으며, 강서구(3천632만원), 송파구(3천598만원) 등도 서울 평균보다 높았다.
성북구(3천507만원), 서대문구(3천502만원), 영등포구(3천391만원), 동대문구(3천363만원), 강동구(3천260만원), 관악구(3천143만원), 강북구(3천78만원) 등도 3천만원을 상회했다.
은평구(2천628만원), 도봉구(2천685만원), 구로구(2천941만원) 등 3개 구의 분양가는 2천만원대였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강남구, 서초구 등에서 분양이 있었다면 지난해 서울의 평균 분양가는 더 높았을 것으로 관측했다.
실제로 올해 들어 지난 16일까지 서울의 3.3㎡당 평균 분양가는 8천753만원에 이른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자재비와 인건비 상승에 따라 공사비도 올랐지만 부동산 활황기를 거치면서 땅값이 워낙 뛴 데다 최근 몇 년 새 공시지가까지 현실화돼 분양가가 오를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땅값을 고려하면 분양가 상승세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