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상승률 OECD 최하위...작년 33위로 떨어져

정책일반 / 최용민 / 2020-02-10 09:51:44

▲출처=연합뉴스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년 만에 전 세계 주요국 최하위권으로 떨어지는 등 국가경제의 주름살이 깊어지고 있다

 

1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지난해 한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통계 집계 이후 최저인 0.4%에 그치며 36개 회원국 가운데 33위를 나타냈다.

 

우리보다 물가 상승률이 낮은 곳은 그리스(0.2%)와 포르투갈(0.3%). 스위스(0.4%)는 스위스프랑 가치 절상에 물가 상승률이 한국과 같은 수준이 되었고 90년대에 장기간 디플레이션을 겪은 일본(0.5%)도 한국보다는 높았다.

 

2017년만 해도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15위였지만, 20181.5%로 낮아지며 26위로 밀려났고, 작년에는 최하위권으로 떨어진 것이다.

 

경제 전문가들은 수요측 물가상승 압력이 약해진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에 소비가 줄며 물가상승률이 더 낮아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다. 실제로 아주 특별한 일이 없으면 외출은 물론 여행 자체를 삼가고 있고 영화관이나 공연장 대형음식점 등 다중집합 건물에 사람들이 잘 모이지 않고 있어 경기 침체가 당분간 심화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하고 있다.

 

민간 경제의 물가상승 압력을 보여주는 OECD 기준 근원물가(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 상승률도 낮아졌다. 한국은 2017년 근원물가 상승률이 1.7%OECD 회원국 가운데 13번째로 높았다. 그러나 2018년에는 1.2%로 꺾이며 19위로 밀렸고, 지난해에는 0.7%까지 낮아지며 29위가 됐다.

 

올해 1월 반짝 상승도 신종 코로나 탓으로 낮아질 수 있어

 

금융 전문가들은 올해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5%로 반등했지만, 신종코로나에 국내 소비가 줄어 물가 상승률이 다시 낮아질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백윤민 교보증권 수석연구원은 "신종코로나로 소비가 위축돼 단기적으로 수요 측면의 물가 하방 압력이 다시 확대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중국 내 부품 생산 차질에 일부 중간재 가격이 오를 수 있겠으나, 소비 위축이 더 크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압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신종코로나 확산이 중국 내 집중되는 데 그칠 경우 한국의 국내소비는 0.1%포인트 감소하지만, 한국에서도 추가로 퍼질 경우 0.30.4%포인트 줄어들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편 지난 1월 한국은행 기준금리 결정 회의에서도 가파르게 하락하는 물가 상승률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한 금통위원의 이야기는 우리 경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수년간 이어진 기조적인 물가 상승률의 하락 추세가 반전될 것으로 기대하기 쉽지 않다. 만일 근원물가 상승률이 더 둔화할 경우 상대적으로 작은 충격에도 디플레이션 우려가 확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부도 국가경제의 경쟁력 확보와 원동력을 되살려 낼 부담이 커지고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