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항공 사장단 벼랑끝 호소 "조건없는 긴급 금융 꼭 필요"

정책일반 / 정민수 기자 / 2020-02-28 09:30:35
‘납부유예 말고 감면조치 시행해 달라’

▲ 항공사 사장단이 한데 모여 대책을 의논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항공업계가 3중고의 고사 위기에 놓인 가운데 저비용항공사(LCC) 6곳이 정부에 조건 없는 긴급 금융지원을 건의했다.

 

28일 에어부산과 에어서울, 이스타항공,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등 LCC 6곳 사장단은 공동 건의문을 내고 "지금 LCC는 작년 일본 불매 운동에 이은 코로나19 사태로 절체절명의 벼랑 끝에 서 있다""어떠한 자구책도 소용없고 퇴로도 보이지 않는다"고 호소했다.

 

LCC 사장단은 "항공산업은 일반 산업과 달리 이윤 추구에 앞서 국민의 편의와 공공성을 우선

하는 국가 기간산업"이라며 "관광, 숙박 등 서비스·물류에서 항공기 정비에 이르기까지 연관 산업으로 이어지는 경제 고리의 시발점으로 국가 경제에 미치는 파급 효과는 실로 막대하다"고 강조했다. 사실 항공산업은 타산업과의 연계가 많아 무너지기 전에 특단의 지원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LCC 사장단은 전날 서울에서 회의를 열고 현재의 위기가 특정 항공사만이 아닌 국내 저비용 항공산업 전체의 위기라면서 정부에 무담보·장기 저리 등 조건을 대폭 완화한 긴급 경영안정자금 지원을 촉구했다.

 

LCC 사장단은 "부채비율이 높은 항공사의 구조상 누적된 적자가 반영된 현시점에서 시중은행 상품을 통한 자금 조달은 사실상 불가능하다""즉각적인 유동성 개선을 위한 자금 조달이 가능하도록 지원 조건을 대폭 완화하고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 항공사 창구가 텅 비었다.
앞서 정부는 지난
17일 항공 분야 긴급 지원 대책을 발표하며 일시적 유동성 부족을 겪는 LCC에 대해 산업은행의 대출심사절차를 거쳐 최대 3000억원 내에서 유동성을 공급하기로 했다. 또 다음달부터 최대 3개월간 공항시설 사용료에 대한 납부를 유예하고 상반기 중 항공 수요 회복이 안 될 경우에는 6월부터 2개월간 착륙료를 10% 감면하고 인천공항 조명료 등 각종 사용료의 감면 기한도 연장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LCC 사장단은 현재의 지원은 그냥 일반적인 지원책일 뿐 실질적인 도움은 되지 않는다는 반응이다. "정부가 제시한 공항사용료 등 각종 비용지원은 납부 유예라서 실질적 지원이 못 된다""지금 필요한 것은 전면 감면 조치다. 항공기 재산세와 항공유 수입 관세 등 각종 세금을 감면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와 함께 중국과 동남아 등 운항 노선의 축소로 휴직 인원이 불가피하게 발생하는 상황을 감안해 항공사 근로자의 휴업수당에 지원되는 고용유지지원금 비율을 한시적으로 현행 2분의 1에서 3분의 2로 인상해줄 것을 촉구했다.

 

대부분의 항공사. 운항편 감축, 임직원 임금 반납

 

LCC 사장단은 "항공사들이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노선 운휴, 자산 매각, 비용 절감 등의 자구노력을 하고 있고 1만명 이상의 항공사 임직원이 절박한 심정으로 임금 반납, ()급 휴직 등 고통 분담에 동참하고 있지만 항공사만의 자체 노력으로 극복하기에는 너무나 역부족"이라며 정부 차원의 전향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저비용항공사 전체가 도산으로 갈 수밖에 없는 이 상황에서 정부의 특단의 대책이 요구된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