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20d와 520d xDrive M 스포츠 패키지 플러스에는 M 스포츠 스티어링 휠을 제공하며 인디비주얼 인테리어 트림 피아노 블랙과 함께 소프트 클로징 도어 옵션이 추가됐다. [제공=BMW] |
수입차 시장의 최대 고객은 30대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의 '2019 브랜드별 연령 통계'에 따르면 작년 국내에서 판매된 수입차(국토교통부 신규 등록 기준) 24만4780대 가운데 개인이 구매한 차량은 총 15만3677대로 집계됐는데 연령별 선호를 보면 20~30대는 BMW를 가장 많이 선택했고, 40∼70대는 메르세데스-벤츠를 가장 선호했다.
연령대별 구매량은 30대가 5만645대로 전체의 33.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수입차 영업사들이 30대를 주 타깃층으로 노려온 것이 수치적으로도 증명됐다. 이 점에서 30대 구매층의 저력을 보여준 증거로 보인다. 그 뒤를 40대가 31.7%(4만8709대), 50대가 19.6%(3만161대), 60대 8.0%(1만2345대), 20대 5.8%(8970대), 70대 이상 1.8%(2827대) 순이었다.
세대별로는 브랜드에 따라 선호가 나뉘었다. 20∼30대에서는 BMW가 최다 판매 브랜드로 꼽혔고, 40∼70대에서는 벤츠가 독보적인 인기를 끌었다.
20대에서는 BMW가 2340대(26.1%) 판매돼 2위 벤츠 2129대(23.7%)를 제치고 가장 많은 판매량을 기록했다. 3위에도 BMW 계열의 소형차 브랜드인 미니(MINI)가 1019대(11.4%)로 이름을 올렸다.
30대 역시 BMW가 1만2299대(24.3%)로 가장 많이 팔렸고, 벤츠도 1만2029대(23.8%)가 판매돼 뒤를 바짝 쫓았다. 다음은 볼보 2884대, 폴크스바겐 2594대, 아우디 2451대, 혼다 2360대, 도요타 2358대 등으로 각축하는 양상이었다. 전통적으로 30대는 BMW를 선호해 왔다는 것이 수입차 영업사 관계자들의 증언이다.
이에 반해 40대에서는 벤츠가 1만2257대(25.2%)로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고, BMW는 8407대(17.3%)로 2위였다. 두 브랜드 외에는 도요타(3066대), 혼다(2606대), 렉서스(2487대) 등 일본 브랜드에 대한 선호가 두드러졌고, 볼보(2884대)도 상위에 들었다. 50대와 60대는 벤츠 선호도가 유난히 두드러졌다. 안전을 중시하는 보수적 성향 탓이란 분석이 나온다.
50대에서는 전체 판매량 3만161대 중 8762대(29.1%)가 벤츠였다. 2번째로 많이 팔린 BMW 3097대(12.3%)는 벤츠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다음은 일본계 렉서스(2258대)와 도요타(2225대)가 차지했다.
60대 역시 50대와 동일한 선호도를 보여주었다. 전체 판매량 1만2345대 중 4248대(34.4%)가 벤츠였고, 다음으로 많이 팔린 BMW(1285대·10.4%)는 3분의 1 수준에 불과했다. 역시 렉서스(1148대), 도요타(1036대), 혼다(711대) 등이 뒤를 이었다.
70대도 마찬가지였다. 벤츠가 전체 2827대 중 1040대(36.8%)로 가장 많이 팔렸다. 2위는 렉서스(324대)가 차지해 3위 BMW(286대)를 앞질렀다.
수입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대개 BMW는 젊은 층, 벤츠는 중장년층이 선호하는 브랜드로 각각 인식되는데 실제 판매량에서도 이 점이 고스란히 나타났다"고 말하면서 “이 같은 연령별 브랜드 선호가 수치로도 증명되면서 갈수록 분화되어 갈 전망”이라고 밝혔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