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공=잡코리아 |
국내기업 인사담당자들이 올해 HR분야 핫이슈 1위로 '코로나19사태로 인한 기업의 채용연기 및 취소'를 꼽았다. 이어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등장한 '재택근무(원격근무)'과 온라인 인적성검사와 AI면접 등 '언택트 채용의 확산'을 순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국내기업 인사담당자 364명에게 '올해의 HR분야 핫이슈'를 조사한 결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기업의 채용연기 또는 취소(62.9%,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다고 14일 밝혔다.
실제 지난 3월 잡코리아가 기업 489개사를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로 채용을 연기하거나 취소했는지' 조사한 결과 10곳 중 7곳에 달하는 74.6%가 '그렇다'고 답했다. 이들 기업이 채용을 연기하거나 취소한 채용은 경력직 채용(39.2%)보다 신입직 채용(80.5%)이 높아 신입직 채용이 훨씬 더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풀이됐다.
올해 HR분야 핫이슈 2위는 '재택근무(원격근무)의 확산(37.1%)'이 꼽혔다. 잡코리아가 직장인 543명을 대상으로 '올해 재택근무 경험'에 대해 조사한 결과, 직장인 2명 중 1명(54.5%)이 '올해 코로나19 발생 이후 재택근무를 한 적 있다'고 답했다. 이러한 답변은 대기업 직장인 중 74.5%로 가장 높았고, 이어 중견기업(64.6%) 중소기업(44.1%) 순으로 높았다.
HR분야 핫이슈 3위는 온라인 인적성검사, AI면접 등의 '언택트(비대면) 채용의 확산'으로 응답률 30.2%로 높았다. 올해 채용을 진행한 대기업의 대부분은 서류전형 이후 인적성검사를 온라인으로 진행했고, AI면접을 도입한 기업도 적지 않았다.
4위는 '주52시간근무제의 확산'(20.6%)이었다. 최근 12월 잡코리아가 중소기업 1011개사의 주52시간근무제 도입 현황을 조사한 결과 10곳 중 8곳에 달하는 83.0%가 주52시간근무제도를 시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6.6%는 '연내 도입할 계획'이라 답했고, '아직 준비가 많이 부족하다'고 답한 중소기업은 10.4%로 10곳 중 1곳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5위는 '유연근무제의 확산'(19.5%)로 조사됐다. 주52시간근무제 도입을 위해 유연근무제나 탄력근무제 등 자율출퇴근 제도를 도입하는 기업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특히 올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참여하기 위해 직원들의 출퇴근 시간을 조정하는 기업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이어 △경기불황으로 인한 경영실적 악화(17.9%) △온라인 채용설명회의 증가(11.8%) △신입인턴(채용연계형 인턴) 채용의 증가(10.2%) △대기업 신입직 수시채용의 확산(9.3%) △2021년 최저임금 1.5%인상(8.5%) 등으로 나타났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