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도는 SKT, 커버리지는 LGU+ 1위, 안정성은 KT 1위
과기정통부 "통신사 투자 속도 내야…세액공제 등 지원"
5G 쓰면서 4G 우선 으로 설정한 고객 수두룩
![]() |
▲ 지하철에서 통신속도 점검하는 과기정통부 장관 |
1년 동안 애는 썼지만 결과는 별무신통이다. 5G 서비스가 상용화 1년을 넘었지만, 여전히 품질 불만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실제로 이동통신사들의 망 투자가 여전히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 조사 결과 서울과 6대 광역시 다중이용시설 중 5G망이 구축된 곳은 4000곳도 되지 않았고, 그나마 그중 3분의 1가량은 신호가 약해 제대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적으로 보면 5G 통신 속도는 SK텔레콤이, 서울과 6대 광역시에서의 커버리지는 LG유플러스가, 접속 안정성에선 KT가 각각 1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만족할 만한 수준은 결코 아니었다.
4G처럼 생각하면 오산... 안 터지는 곳 수두룩
이 때문에 비싼 5G를 쓰면서 4G우선으로 설정을 고쳐놓고 T는 소비자들도 수두룩하고 이것은 지방으로 갈수록 더 많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일 한국정보화진흥원과 함께 실시한 상반기 5G 통신서비스 품질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평가는 지난해 4월 5G 상용화 이후 처음 실시된 것으로, 서울과 6대 광역시에서 이통사별 커버리지와 통신 품질을 점검했다.
점검 대상인 다중이용시설 중 5G를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은 3사 평균 1275개로, SKT 1606개, LGU+ 1282개, KT 938개였다. KT가 가장 이용할 수 있는 곳이 부족했다.
이들 시설에서 5G를 원활하게 쓸 수 있는 신호 세기가 나오는 비율(5G 가용률)은 평균 67.93%였다.
즉, 이통 3사를 합쳐서 5G를 쓸 수 있는 서울 및 6대 광역시의 다중이용시설은 3825개였고, 그나마 원활한 서비스가 가능한 곳은 이들 중 3분의 2가량에 그친 것이다.
옥외에서는 서울이 3사 평균 약 425.53㎢에 커버리지를 구축해 임야 이외에서는 대부분 5G를 제공했다. 6대 광역시는 약 931.67㎢에 커버리지를 구축해 도심 및 주요 지역 서비스가 가능했다.
내용을 살펴보면 사별로는 서울에서 KT 433.96㎢, SKT 425.85㎢, LGU+ 416.78㎢였고, 6대 광역시에서는 LGU+ 993.87㎢, KT 912.66㎢, SKT 888.47㎢ 등으로, 서울과 6대 광역시를 합산한 커버리지 면적은 LGU+, KT, SKT 순이었다.
이는 3사가 홈페이지에서 공개한 정보를 토대로 한 것으로, 과기부 점검 결과 실제보다 과대 표시된 사례는 없었다.
교통시설 중에서는 지하철 649개역 중 313곳에 5G가 구축됐고, 가용률은 평균 76.33%였다.
주요 고속도로 32개 구간 중 22.33개 구간에 5G가 구축됐고, 가용률은 평균 78.21%였다.
주요 고속철도 중 KTX는 평균 가용률 76.22%, SRT는 평균 가용률 74.67%로 나타났다.
정보통신 전문가들은 코로나19를 핑계로 5G 통신업체들이 투자를 줄여 쓴 것이 분명하다고 지적한다. 1년간 이 정도 확산된 데 불과하다면 앞으로 1년간도 크게 기대할 것 없다고 잘라 말하는 이들도 나올 정도다. 따라서 정부가 계도하고 적극적으로 감사 관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도 어려우면 요금을 인하하라는 지적에 수긍이 가는 상황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