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주문기 도입 등 디지털 전환에 따른 결과
![]() |
▲ 사진=무인주유소과 무인편의점 [제공/연합뉴스] |
은퇴 인구 증가와 배달 라이더, 무인주문기(키오스크) 도입 등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가 42개월 연속 증가하면서 지난달 14년만에 가장 많은 수준까지 늘었다.
29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7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수는 1년 전보다 4만9천명(1.1%) 늘어난 433만9천명이었다.
이는 같은 달 기준으로 2008년(456만7천명)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통계청은 표본 조사를 통해 종사상 지위별 취업자 수를 집계해 매월 고용동향에서 공표하고 있다.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수는 1년 전 대비 증감률로 봤을 때 2019년 2월부터 42개월 연속 증가세다.
7월 기준으로 보면 2008년 456만7천명에서 2018년 404만2천명까지 줄었다가 이후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최근 배달 라이더 등 플랫폼 기반의 노동자가 증가한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배달 대행업체 등에 소속된 플랫폼 노동자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로 분류된다.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에서 운수 및 창고업 종사자의 비중은 2018년 7월 13.9%에서 지난 7월 16.4%로 4년 새 2.5%포인트 증가했다.
베이비붐 세대(1955∼1963년생) 등 은퇴 인구가 증가하면서 창업 등이 늘어난 영향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전체 자영업자는 2018년 7월 570만1천명에서 지난 7월 569만1천명으로 1만명(0.2%) 소폭 감소했다.
반면 60대 이상 자영업자는 같은 기간 165만4천명에서 204만8천명으로 39만4천명(23.8%) 증가했다.
60대 이상의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38만9천명에서 176만5천명으로 37만6천명(27.1%)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의 증가에는 플랫폼 기반 노동자 등 다양한 형태의 일자리가 반영되는 면이 있는 것 같다"며 "고령층 인구가 늘면서 농림어업 쪽 종사자가 늘어난 영향도 있다"고 말했다.
산업별로 보면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 가운데 농림·임업 및 어업 종사자의 비율이 같은 기간 21.6%에서 23.5%로 늘었다.
농림·임업 및 어업 종사자는 60대 이상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무인주문기 도입 등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도 배경으로 꼽힌다.
키오스크 도입, 배달앱 이용 증가, 서빙 로봇의 활용 등으로 종업원을 고용할 필요성은 점점 줄어드는 상황이다.
김태기 단국대 명예교수는 "키오스크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서비스 로봇 등 디지털 전환으로 자영업 사업 자체가 전환되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2019년 최저임금 인상, 2020년 코로나19 확산으로 어려워진 자영업자가 종업원을 내보내는 등 자영업 내에서 구조조정이 이뤄지는 측면이 있다"고 부연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