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 종료 찬반 투표 결과…찬성 61.84%, 반대 37.55%

경제일반 / 이재만 기자 / 2022-12-09 17:11:31
-화물연대 조합원 2만6천144명 중 3천575명이 참여, 투표율은 13.67%
▲ 사진=화물연대 대전본부 조합원들 9일 오후 대전 대덕우체국 앞 화물연대 거점 시위 현장에서 철수 [제공/연합뉴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이하 화물연대)가 9일 총파업을 철회했다.

화물연대와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화물연대는 이날 조합원들을 상대로 파업 종료 찬반 투표를 진행한 결과 찬성 61.84%(2천211표), 반대 37.55%(1천343표)로 파업 종료의 건이 가결됐다고 밝혔다. 무효표는 21표(0.58%)였다.

이날 투표는 오전 9시부터 전국 16개 지역본부별로 조합원들이 직접투표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화물연대 조합원 2만6천144명 중 3천575명이 참여해 투표율은 13.67%였다.

16일째 이어진 파업에 지친 일부 조합원들이 현장을 이탈하고, 파업 참여 열기가 낮아지면서 투표율이 저조했던 것으로 보인다.

투표 결과에 따라 화물연대 각 지역본부는 본부별로 해단식을 진행한 뒤 바로 현장으로 복귀했다.

그동안 이어진 총파업으로 철강, 석유화학, 정유 등 주요 산업 분야에서 약 3조5천억원에 달하는 출하 차질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산된다.

철강과 석유화학 분야 출하 차질 규모가 각각 1조원대를 넘어 피해가 컸다.

파업 종료를 결정하기 위한 조합원 총투표는 전날 더불어민주당이 정부·여당이 제시한 '안전운임제 적용 품목 확대 없는 일몰 3년 연장안'을 수용하기로 하면서 급하게 결정됐다.

국회에서 탈출구를 찾으려 했던 화물연대로선 입지가 크게 좁아지며 화물연대는 민주당 결정에 당혹스러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두 차례 업무개시명령 발동 등 정부의 강경 대응과 파업 장기화에 따른 조합원들의 생계 문제로 이미 동력이 떨어진 상황이었다.

화물연대는 "정부여당의 폭력적 탄압으로 일터가 파괴되고 동료가 고통받는 모습을 더 이상 지켜볼 수 없어 파업 철회와 현장 복귀를 결정했다"며 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을 입법해달라고 촉구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