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최여정 기자] 한미약품이 베링거인겔하임과의 개발 중단 통지를 의도적으로 늦장 공시한 의심을 받고있다.
한국거래소가 이에 대해 미공개 정보를 이용한 한미약품 주식 거래 가능성 등에 대한 조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2일 한국거래소 시장감시본부 관계자는 "지난달 30일 한미약품의 호재 공시 뒤 악재 공시로 주가가 출렁인 것과 관련 내부자 거래가 있었는지 등을 중심으로 면밀히 살펴볼 것"이라며 "악재 공시가 뜨기 전인 장 개시 30분 동안 한미약품과 지주사인 한미사이언스 주식을 대량 매도하거나 공매도를 쳐 부당이익을 챙긴 세력이 있는지 파악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미약품의 지난달 30일 공매도량은 10만4327주로, 한미약품이 상장된 지난 2010년 7월 이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미약품의 올해 평균 공매도량은 4850주다.
한미약품은 지난달 30일 개장 직후인 오전 9시 29분 베링거인겔하임으로부터 지난해 7월 맺었던 항암제 기술수출 계약 해지 통보를 받았다고 공시했다. 갑작스러운 악재 공시에 투매성 물량이 쏟아져 나와 이날 주가는 18.06% 추락한 채 마감했다.
특히 악재 공시 하루 전인 지난달 29일 로슈의 자회사인 제넨텍과 1조원 규모의 표적 항암제 기술수출 계약을 했다고 알렸던 터라 30일 개장 초 오름세를 보이던 주식을 산 투자자들은 최대 24%가량의 큰 손실을 봤을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한미약품 측이 베링거인겔하임의 개발 중단 통지를 지난달 29일 저녁에 받았다고 얘기하고 있지만 사망 사고 발생이나 경쟁 약물의 승인 과정 등 여러 정황을 고려했을 때 충분히 사전 조치가 가능했을 것으로 본다"고 지적했다.
한미약품은 이에 대해 2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공시를 위한 절차를 밟는 과정에서 지연됐을 뿐 다른 의도가 있는 건 아니다"라고 거듭 해명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