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JTBC
[데일리매거진=우태섭 기자] 당정은 28일 국회에서 조찬 간담회를 갖고 중·고교 국정 역사교과서 현장 검토본 공개에 따른 일선 교육현장 적용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새누리당 간사인 염동열 의원을 비롯해 강길부, 김세연, 이은재, 전희경, 조훈현, 이종배 의원 등 여당 교문위원들이 참석했다.
교문위 간사인 염 의원은 이날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준식 교육부총리 등 교육부 역사교육정상화 추진단과 간담회를 마친 뒤 취재진과 만나 "와전돼 철회라는 얘기가 나왔는데 확실하게 무조건 (기존 정책을) 밀고 나가는 것도 아니지만 철회도 아니다"라며 이렇게 말했다.
염 의원은 "오늘 여당 의원들에게 공개했지만 야당 의원들에게도 공개될 것이고 한달 간 웹사이트를 통해서도 공개된다"며 "과거에는 우편향, 좌편향 학자들이 자기 사관으로 충돌했지만 가능한 사실에 입각한 교과서를 만들었기 때문에 기준이 있는 상황에서 토론은 접근하기 쉬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덮어놓고 반대하는 것보다 현장 검토본이 투명하게 공개되니 교사, 학자의 의견을 묻는 기회로 썼으면 좋겠다"며 "이것은 올바른 교과서를 완벽에 가깝게 만드는 과정이다. 자기의 생각을 주입시키려는 것보다 합리적 논리와 학술 토론을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염 의원은 집필진 편향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한 명, 한 명 분석하지는 않았지만 교과서가 만들어진 것 자체를 두고 평가를 했으면 좋겠다"며 "과거 교과서 8종 중 편향돼 있는 소속단체 집필진이 쓴 것도 다른 시각으로 볼 수 있지만 그 자체로 편향되게 볼 필요가 없다. 나와 있는 교과서에 묻어나는 편향성을 봐야 한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이날 발표될 현장 검토본에 대해 "다 보진 못했지만 이슈 됐던 내용은 사실에 입각한 결과로 나왔다"며"1948년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으로 쓰였다. 친일 문제 등 학자들이 충돌했던 상당 부분은 사실에 입각해졌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간담회에서는 발표될 역사교과서의 편향성을 두고 우려도 나왔다. 염 의원은 "언쟁은 없었지만 이은재 의원이 교과서가 공정하게 가야 하지 않겠느냐. 여론 눈치 때문에 교과서가 좌편향으로 가서는 안 된다(고 했다)"며 "이 의원 개인적인 의견일 수 있다"고 말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