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친박계 모임인 혁신과 통합 보수연합 공동대표들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혁신과 통합 보수연합 해체를 선언 하고 있다.
[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새누리당내 친박계 모임 '혁신과 통합 보수연합(공동대표 정갑윤·김관용·이인제)'이 20일 해체를 선언했다.
혁통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정갑윤 의원과 김관용 경북지사, 이인제 전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부로 '혁신과 통합 보수연합'으로 대표되는 친박 모임을 해산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친박을 의미하는 어떤 모임도 구성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혁통의 공동대표를 맡고 있는 정갑윤 의원과 김관용 경북지사, 이인제 전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늘부로 '혁신과 통합 보수연합'으로 대표되는 친박 모임을 해산하기로 했다"며 "앞으로 친박을 의미하는 어떤 모임도 구성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특히 '친박 중진'은 비상대책위원회를 비롯한 당의 어떤 당직에도 참여하지 않을 것"이라며 "새누리당의 환골탈태와 새로운 보수정당의 탄생을 위해, 내년 대선에서 보수 정권 재창출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박 대통령의 4월 퇴진 6월 대선, 즉 질서있는 퇴진을 이루진 못했지만, 친박 진영의 질서있는 해산을 완성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더이상 새누리당에 친박과 비박의 분류는 없을 것이다. 앞으로 새누리당에는 어떠한 형태의 진영논리도 없길 바란다"고 했다.
이들은 최근 벌어지고 있는 비대위원장 인선에 대해 유승민 의원은 안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정갑윤 의원은 "이전에 3+3 모임(친박 원유철·정우택·홍문종, 비박 김재경·주호영·나경원)에서 비대위원장을 추대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는데 그 노력을 할 때 전부 외부인사를 추대하는 것이었지 내부인사는 절대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소위 말하는 비박 쪽에서 추천을 하는 것 같은데, 그건 합의가 이뤄져야 할 사안이다. 그 동안에 (유 의원이) 엄청 당에 골을 판 입장에서 갈등을 해소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다"며 "이왕이면 서로가 외부에서 모셔오는 게 맞지 않겠나"고 했다.
이들은 또 "이 자리에서 분명히 말씀드릴 것은 최순실 문제를 언론이 폭로하기 전까지는 그 누구도 알지 못했다는 사실"이라며 "특히 현 정부에서 당 대표나 원내대표를 지낸 고위 당직자뿐 아니라 누구도 당내에서 공식회의 석상이나, 사석에서라도 최순실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사실이 없다"고 했다.
한편 친박계는 이날 "최순실 사태의 책임공방은 그 자체가 부끄럽고 수치스러운 것"이라며 "그런 점에서 시류에 편성한 일부 의원들이 책임을 회피하고 쇄신·개혁적 투사를 자처하는 것은 결코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라며 비주류를 비판했다.
이들은 "박 대통령의 4월 퇴진 6월 대선, 즉 질서있는 퇴진을 이루진 못했지만, 친박 진영의 질서있는 해산을 완성하고자 하는 것"이라며 "더이상 새누리당에 친박과 비박의 분류는 없을 것이다. 앞으로 새누리당에는 어떠한 형태의 진영논리도 없길 바란다"고 했다.
이들은 최근 벌어지고 있는 비대위원장 인선에 대해 유승민 의원은 안된다는 입장을 피력했다.
정갑윤 의원은 "이전에 3+3 모임(친박 원유철·정우택·홍문종, 비박 김재경·주호영·나경원)에서 비대위원장을 추대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는데 그 노력을 할 때 전부 외부인사를 추대하는 것이었지 내부인사는 절대 아니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소위 말하는 비박 쪽에서 추천을 하는 것 같은데, 그건 합의가 이뤄져야 할 사안이다. 그 동안에 (유 의원이) 엄청 당에 골을 판 입장에서 갈등을 해소하기에는 용이하지 않다"며 "이왕이면 서로가 외부에서 모셔오는 게 맞지 않겠나"고 했다.
이들은 또 "이 자리에서 분명히 말씀드릴 것은 최순실 문제를 언론이 폭로하기 전까지는 그 누구도 알지 못했다는 사실"이라며 "특히 현 정부에서 당 대표나 원내대표를 지낸 고위 당직자뿐 아니라 누구도 당내에서 공식회의 석상이나, 사석에서라도 최순실에 대해 문제를 제기한 사실이 없다"고 했다.
한편 친박계는 이날 "최순실 사태의 책임공방은 그 자체가 부끄럽고 수치스러운 것"이라며 "그런 점에서 시류에 편성한 일부 의원들이 책임을 회피하고 쇄신·개혁적 투사를 자처하는 것은 결코 이해하기 어려운 일"이라며 비주류를 비판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