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부터) 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 친박계 핵심 서청원, 최경환 의원
[데일리매거진=천선희 기자] 새누리당 인명진 비상대책위원장은 6일 친박(친박근혜)계 강성 의원들을 비롯한 소속 의원들로부터 인적청산을 위한 '책임안'을 제출받는다.
앞서 인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기자회견을 열고 친박계를 겨냥해 오늘까지 탈당하라고 요구했고친박 핵심에 대한 인적 청산에 실패하면 자신이 모레(8일)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다.
어제(5일) 오후 기준으로 정우택 원내대표 등 지도부와 이주영·정갑윤·김정훈·홍문종 의원 등 중진의원들을 포함해 30여명이 자신의 거취를 전적으로 당 지도부에 맡기겠다는 '백지위임장'을 인 위원장에게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대 관심사는 친박 핵심인 서청원·최경환 의원 거취 결정이다. 이들이 어떤 선택을 할 지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서 의원은 인 위원장의 인적 쇄신 방식을 '인위적 인적청산'이라고 비판하며 자진탈당 압박에 반발하고 있다.
한편, 인 위원장과 서청원 의원 등의 충돌로 인적쇄신의 범위가 서 의원과 최경환 의원으로 한정됐다. 현재 개혁보수신당을 창당한 비박계들은 이정현·최경환·서청원·조원진·이장우·홍문종·윤상현·김진태 의원 등 8명을 최순실의 남자라며 이들이 당을 떠나야 한다고 한 바 있다.
그러나 인명진 위원장과 서청원 의원 등 친박 핵심들의 설전 과정에서 친박책임론은 최소로 줄어들었다. 정치권에서는 이들이 끝내 퇴진하지 않아 인 위원장이 직을 그만두게 되면 새누리당은 제2차 집단 탈당이 일어날 수도 변수가 될 것이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