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소공인들이 공동브랜드를 만들어 판로를 개척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금속가공, 수제화, 전자부품 등을 제조하는 소공인들은 '소공인특화센터'를 통해 공공조달시장에 참여할 수도 있다. 우수 소공인 제품이 면세점을 통해 해외 관광객에게 판매되거나, 온라인으로 해외 소비자에게 판매될 수 있는 길도 넓어진다.
중소기업청은 도시형 소공인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이같은 내용이 담긴 도시형소공인 지원을 위한 5개년(2017~2021년) 종합계획을 처음 마련했다고 14일 밝혔다.
소공인이란 노동집약도가 높고, 숙련기술을 기반으로 해 일정 지역에 몰려있는 특성을 가진 소규모 제조기업을 말한다. 상시근로자 수는 10명 미만이어야 한다. 10명 이상이면 중소기업에 속한다. 식료품, 음료, 섬유제품, 의복, 가죽·가방, 펄프, 인쇄, 1차금속 등 19개 업종이 있다. 2014년 기준으로 전국 31만7000개의 소공인업체에 98만9000명이 종사하고 있다.
소공인 중에서도 서울, 경기, 부산, 대구 등 주요 도시에 있는 소공인 밀집지역을 중장기적으로 육성하겠다는 것이다. 도시를 중심으로 한 소공인 집적지는 현재 전국에 696곳이 있다.
이와관련 중기청 A 관계자는 <데일리매거진>과의 통화에서 "소공인은 숙련기술을 활용해 제조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하는 제조업의 모세혈관이고 산업의 뿌리"라면서 "지역경제와 일자리 창출의 견인차 역할을 하는 소공인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기업의 성장사다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정책과 세부과제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정부는 2015년 5월 '도시형소공인 지원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 시행한 바 있다. 이번 5개년 계획도 연속선상에서 내놓은 것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