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전국경제인연합회
[데일리매거진=안정미 기자]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50년만에 한국기업연합회(한기련)로 명칭을 바꾸고 조직과 예산을 40% 이상 대폭 감축하고 정경유착 문제가 불거진 회장단회의와 사회협력회계도 폐지하기로 결정 했다.
허창수 전경련 회장은 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 회관에서 열린 ‘회장단회의-혁신위원회 연석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혁신안을 발표했다.
전경련은 1968년 3월부터 50년간 사용해 온 ‘전국경제인연합회’ 명칭을 ‘한국기업연합회’로 바꾼다고 발표했다. ‘경제인(회장)’ 중심의 협의체에서 ‘기업’이 중심이 되는 경제단체로 거듭나겠다는 의미를 담았다. 전경련은 1961년 1월 한국경제협의회에서 동년 8월 한국경제인협회으로 명칭을 바꿨으며 1968년 3월에는 전국경제인연합회로 다시 이름을 바꾼 바 있다.
1961년부터 중요 의사결정기구 역할을 해왔던 회장단회의는 이날 회의를 끝으로 폐지한다.
이날 폐지한 회장단 회의 이후 전경련의 중요 의사결정은 신설되는 경영이사회에서 이뤄진다. 경영이사회는 기존 오너 중심 회의체 성격을 탈피해 주요 회원사 전문경영인 등으로 구성될 것으로 알려졌다.
전경련은 의사결정구조가 이사회 중심으로 바뀌면 회원사가 지적해 온 사무국의 독단적 결정 등의 관행도 바로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여 설명했다.
또 경제단체로서 회원사 의견을 수렴하는 공식 창구로 이사회 산하의 경제정책위원회 등 분과별 협의회를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또 사회본부를 폐지하는 등 조직도 대폭 축소한다.
기존 7본부 체제를 커뮤니케이션본부, 사업지원실, 국제협력실 등 1본부 2실 체제로 바꾼다. 조직과 예산도 40% 이상 감축하고 위원회와 협의회 등을 통한 소통 기능과 한미재계회의 등 민간경제외교 역할에만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정경유착의 고리역할을 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사회협력회계도 폐지한다. 향후 제2의 미르·K스포츠재단 사태가 재발할 수 있는 고리를 원천 차단하겠다는 의지다.
부당한 요청에 따른 협찬과 모금활동에도 일체 관여하지 않기로 했다. 기존에 공개하지 않았던 활동내역과 재무현황 등도 홈페이지에 연 2회 공개해 공익법인에 준하는 수준으로 투명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경제·산업본부의 정책연구기능은 한국경제연구원으로 이관해 한경연의 싱크탱크 기능을 강화한다. 한국경제연구원은 향후 기업 정책 연구 뿐 아니라 연구의 외연을 넓혀 저출산, 4차 산업혁명 등 국가적 아젠다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연구도 진행하게 된다.
이와관련 허창수 회장은 본지와의 통화에서 "지난해 불미스러운 일로 국민들께 실망을 안겨드린 것에 대해 깊이 사과드린다. 전경련은 앞으로 초심으로 돌아가 경제단체 본연의 역할에 충실한 조직으로 거듭나겠다"며 "사무국은 회원사와 우리 사회에 도움이 되는 단체로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