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서태영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제62회 현충일 추념사에서 "애국의 대가가 말뿐인 명예로 끝나서는 안 된다"며 "국가보훈처를 장관급 기구로 격상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6일 오전 서울 동작구 국립 서울현충원을 찾아 순국선열과 호국영령, 민주열사 등을 기리는 추념사를 통해 "저와 정부는 애국의 역사를 존중하고 지키겠다"며 "대한민국을 지키기 위해 공헌하신 분들께서 대한민국을 통합하는 데 앞장서 주시길 간절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이날 추념식에 문 대통령은 검은색 정장과 타이 차림으로 참석했으며 부인 김정숙 여사가 동행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하고 친일을 하면 3대가 흥한다는 뒤집힌 현실은 여전하다"고 지적하며 "독립운동가 한 분이라도 더, 자손들 한 분이라도 더, 독립운동의 한 장면이라도 더 찾아내겠다. 기억하고 기리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어 "38선이 휴전선으로 바뀌는 동안, 목숨을 바친 조국의 아들들이 있었다"며 "전선을 따라 늘어선 수백 개의 고지마다 한 뼘의 땅이라도 더 찾고자 피 흘렸던 우리 국군이 있었다"고 한국전쟁 당시 우리 국군의 희생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철원 '백마고지', 양구 '단장의 능선'과 '피의 능선', 이름 없던 산들이 용사들의 무덤이 되었다"며 "전쟁의 비극이 서린, 슬픈 이름이 붙여졌다. 전우를 그곳에 남기고 평생 미안한 마음으로 살아오신 호국용사들에게 눈물의 고지가 되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아직도 백골로 묻힌 용사들의 유해, 단 한구의 유골이라도 반드시 찾아내 이곳에 모시겠다"며 "전장의 부상을 장애로 안고, 전우의 희생을 씻기지 않는 상처로 안은 채 살아가는 용사들, 그 분들이 바로 조국의 아버지들"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베트남 참전용사의 헌신과 희생을 바탕으로 조국경제가 살아났다"며 "대한민국의 부름에 주저 없이 응답했다. 폭염과 정글 속에서 역경을 딛고 묵묵히 임무를 수행했다. 그것이 애국"이라고 베트남 참전 용사들의 업적도 높이 평가했다.
문 대통령은 더 나아가 "1달러의 외화가 아쉬웠던 시절, 이역만리 낯선 땅 독일에서 조국 근대화의 역군이 되어준 분들이 계셨다"며 "뜨거운 막장에서 탄가루와 땀으로 범벅이 된 채 석탄을 캔 파독광부, 병원의 온갖 궂은일까지 견뎌낸 파독간호사, 그 분들의 헌신과 희생이 조국경제에 디딤돌을 놓았다. 그것이 애국"이라고 70년대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의 국가에 대한 헌신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국가를 위해 헌신하면 보상받고, 반역자는 심판받는다는 믿음이 있어야 애국심을 가질 수 있는 나라다운 나라다. 개인과 기업의 성공이 동시에 애국의 길이 되는, 정정당당한 나라를 만들어나가자"며 "순국선열 호국영령 민주열사의 애국헌신을 다시 한번 추모하며 명복을 빈다"고 추모사를 매듭지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