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비자발적 실업자의 추이를 보여주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수 증가율이 지난달 15.9%를 기록했다. 4년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제공/연합뉴스]
[데일리매거진=김학철 기자] 비자발적 실업자의 추이를 보여주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수 증가율이 지난달 15.9%를 기록했다. 이는 4년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15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9월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비자발적 실업 추이를 보여주는 구직급여 신규 신청자 수는 6만9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9000명(15.9%)이나 증가했다. 이는 2013년 1월(18.1%) 이후 최고치다.
조선업황 악화로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조선업의 상시 근로자 고용보험 가입자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만2400명 줄어 23%의 감소율을 보였다. 전달인 8월(22.4%)에 비해서는 감소율이 0.6% 포인트 증가했다. 고용보험 가입자 수 감소율은 4월(22.1%)부터 6개월 연속 20%대를 기록했다.
조선소가 위치한 울산과 경남의 해당 업종 고용보험 가입자 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해고, 신규 채용 감소 등의 여파로 그만큼 취업자가 감소했다는 의미다.
울산은 지난해 동월 대비 1만5100명(28.4%), 경남은 2만1900명(22.8%) 가량 피보험자 수가 줄었다. 특히 전북은 지난 6월 말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의 여파로 2200명이 일자리를 잃으면서 조선업종 피보험자 수가 800명 줄었다. 전남은 3500명(20.5%)이 감소했다.
피보험자 규모가 가장 큰 제조업은 조선업 취업자 감소 여파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줄어든 인원수는 100명에 그쳤다.
선박·항공기·철도차량을 만드는‘기타운송장비’부문을 제외할 경우 제조업은 기계·식품 제조업 등의 성장에 힘입어 지난달 피보험자가 4만2000명(1.3%) 늘었다.
제조업 중에서 피보험자 수가 가장 많은 전자통신은 3800명 늘어 넉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기계 제조업 피보험자는 1만4200명이 늘어나 전체 제조업 중에서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식료품(8400명), 화학제품(5600명)에서도 취업자 수가 늘었다. 반면 섬유와 의복 업종은 각각 2600명, 2700명 줄었다. 자동차 제조업 피보험자는 부품수출 감소 등으로 1800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서비스업 피보험자는 보건복지(6만8000명), 전문과학기술(4만1000명), 도·소매(3만7000명), 숙박음식(3만명) 순으로 늘어났다. 모든 업종을 망라한 9월 전체 피보험자 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3%(29만1000명) 증가한 1287만9000명을 기록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