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AI 위기경보 최고 수준 차단방역 …내년 5월까지 'AI 특별방역대책기간'

미선택 / 김태일 / 2017-10-18 14:46:55
최근 3년간 2회 이상 AI가 발생한 안성과 여주, 강원도와 인접한 포천 등 모두 13개 지역에 거점소독시설 운영

1.jpg
▲사진= 오리사육 농장에서 방역을 하는 모습 ⓒ데일리매거진DB


[데일리매거진=김태일 기자] 경기도는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발생을 막기 위해 오는 20일부터 AI 위기경보 4단계 중 최고 수위인 '심각단계'에 준하는 차단방역을 한다고 18일 밝혔다.


도는 이달부터 내년 5월까지 'AI 특별방역대책기간'으로 정하고 사전 예방 강화, 위험지역 상시검사, 이동 가금류 관리 강화 등 강도 높은 방역대책을 추진한다.


도는 17개 시·군 109개 읍·면·동을 중점 방역관리지구로 지정하고 최근 3년간 2회 이상 AI가 발생한 안성과 여주, 강원도와 인접한 포천 등 모두 13개 지역에 거점소독시설을 운영할 방침이다.


100마리 미만 가금류 사육 농가와 방역에 취약한 농가에 대해서는 겨울철 사육 자제와 입식 금지를 유도한다.


또 가축분뇨 처리업체, 계란 수집판매업체, 도축장 등 축산 관련 시설은 소독설비를 수시로 점검하고 하루 1차량만 1개 농가를 방문하도록 했다.

계란은 시·군별로 거점 계란 환적장을 통해 주 2회 지정된 요일에 반출하도록 조치했다.


이밖에 도는 가금류 사육농가에 대해 축사 온도를 2∼3도 높이고 차량 소독 등을 확인한 뒤 출입을 허용하도록 당부했다.


앞서 지난 10일 화성 황구지천과 안성 안성천 철새 분변에서 H5형 AI 항원이 검출됐으나 저병원성 AI(H5N3형)로 확인돼 이동제한을 해제한 바 있다.


도는 철새도래지 주변을 중심으로 소독을 강화하는 등 방역조치는 계속 추진할 방침이다.


서상교 경기도 축산산림국장은 "2014년부터 매년 겨울 AI가 발생하고 있으며 지난 겨울 경기도에서만 124건이 발생해 1천589만 마리를 살처분 하는 등 피해가 컸다"며 "10월 현재 해외 AI 발생 건수가 1천983건에 달하는 등 올해도 발생 가능성이 커 철저한 차단방역에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에서는 4천739개 농가에서 닭과 오리, 메추리 등 모두 5천330만 마리의 가금류를 사육 중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