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장형익 기자] 정부가 관련 기업들과 함께 2022년까지 2조6천억원을 투자해 국내 수소차 생태계를 키우고, 이를 기반으로 글로벌 수소차 시장 선점에 나서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서울 그랜드인터컨티넨탈 호텔에서 관련 기업들과 ‘산업혁신 2020 플랫폼’ 2차 회의를 열고 수소차와 수소 충전소, 수소 에너지 등 수소차 생태계 조성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회의에는 권문식 현대차 부회장, 현철 효성중공업 기전피유(PU)장, 이재훈 에스케이(SK)가스 사장, 김형근 가스안전공사 사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앞으로 큰 폭으로 성장하는 세계 수소차 시장의 선점을 위해 민·관이 전략적으로 협력함으로써 수소차와 수소충전소, 수소에너지에 이르는 수소차 산업생태계를 조기에 구축해 나가기로 했다.
먼저 업계와 정부는 2018년 1,900억원, 2019년 4,200억원 등 오는 2022년까지 총 2조6,000억원을 투자한다. 이를 통해 2020년 수소차 생산공장 증설, 2021년에는 연료전지 스택공장 증설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2022년까지 1만6,000대의 보급 목표 달성을 위해 타 부처와 협업, 2019년 수소버스 보조금 신설, 운송사업용 수소버스 취득세 감면(50%), 2022년까지 수소차 보조금 유지 등 정부의 수소차 지원이 적기에 이뤄지도록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또한 지자체와의 협업을 통해 올해 서울과 울산을 시작으로 내년까지 전국 5개 도시 시내버스 정규노선에 수소버스를 투입하고 이를 고속버스로 확대 추진해 2022년까지 총 1,000대의 수소버스를 보급할 계획이다.
산업부는 수소차 생태계 조성을 위한 민·관의 전략적 협력과 투자로 2022년까지 총 3800개의 일자리가 생겨날 것으로 기대했다.
백운규 산업부 장관은 “수소차의 높은 시장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우리는 수소차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정책이 없었다”며 “앞으로 수소차 기업들이 글로벌 혁신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