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50억원 이상 건설공사에 '전자인력관리제' 의무 도입

정책일반 / 김학범 / 2018-08-24 17:38:09
시공사가 근로자의 퇴직공제부금을 신고할 수 있도록 하는 인력 관리제도

1.jpg
[데일리매거진=김학범 기자] 서울시가 근로자 임금 체불과 퇴직금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 시가 발주하는 50억 원 이상 건설공사에 '전자인력관리제도'를 의무 도입하다고 24일 밝혔다


'전자인력관리제'는 건설근로자가 건설현장에 설치된 단말기에 전자카드를 찍으면 실시간으로 출퇴근 내역이 기록되고, 이를 바탕으로 시공사가 근로자의 퇴직공제부금을 신고할 수 있도록 하는 인력 관리제도이다.


건설근로자가 발급받은 전자카드는 전자인력관리제를 시행하고 있는 서울시 등 전국의 다른 현장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호환성을 가지고 있다.


시는 전자인력관리제를 2015년부터 서남물재생센터 고도화 사업 등 3개 건설현장을 대상으로 시범 추진·도입하였으며 2016년은 100억원 이상 30개 사업을 시행하였고 2018년은 50억원 이상 24개 건설현장에 대하여 확대 추진 중이다.


그동안 시는 전자인력관리제의 공익성 등 효과에 대한 우수성이 확인되어 일정규모 이상 도시기반시설본부 건설현장에 한해 전자인력관리제를 시행하고 있으나, 시의 전 기관 확대 시행에는 근거규정이 마련되어있지 않아 한계가 있었다.


현재, 건설근로자 전자카드제 도입에 관한 ‘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 개정안이 2016년 12월 발의되어 국회에 계류 중으로 강행 규정이 준비되기 전까지 건설근로자의 사회안전망 강화 및 투명하고 체계적인 인력관리를 위한 제도적 기반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시공자가 ‘건설근로자 전자인력관리제’를 의무 도입하여 근로자 근무일수 등을 기록·관리하기 위한 전자카드 태그 단말기 설치, 근로자 전자카드 발급, 근로자 임금현황 제출 등의 조항을 공사계약 특수조건에 신설했다.


특수조건은 △추정가격 50억원 이상 건설공사의 계약상대자는 전자인력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근로자의 근무일수 등을 기록·관리 △전자카드 태그 단말기 설치 △건설근로자 전용 전자카드 발급 안내 △기성 청구시 전자인력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근로자 노임 지급현황 제출 등, 8월 23일부터 입찰공고 하는 신규 건설공사부터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아울러 2015년부터 서울시가 선도적으로 추진 중인 전자인력관리제는 ‘일자리위원회’의 ‘건설산업 일자리 개선대책 10대 세부과제’에 포함되는 성과를 얻어 7월 국토교통부는 300억원 이상 신규 건설공사 86곳에 전자카드 근무관리시스템을 도입한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한편 시공자가 ‘전자인력관리시스템’ 설치·운영에 대한 비용 부담이 없도록 발주기관이 건설공사 설계단계부터 비용을 반영할 계획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