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노동소득 43세에 최고…75세에는 138만6000원

정책일반 / 서태영 / 2019-01-22 17:00:53
4년 사이에 노동소득 총액 21% 증가…노년층 노동소득 급증

2019-01-22 16;58;56.JPG


[데일리매거진=서태영 기자] 우리나라 국민의 평균 노동소득이 43세 때 정점을 찍은 이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2일 발표한 '2015년 국민이전계정 개발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국내 거주자의 1인당 노동소득은 40세 2759만원으로 전 연령대 중에서 가장 많았다. 40대 중에서는 43세가 연 2896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1인당 노동소득은 생산가능연령에 진입하는 15세부터 점차 상승해 43세에 정점에 달하고 이후 점차 감소하는 흐름을 보였다.


65세의 경우 연간 노동소득이 811만원이었고 75세는 138만6,000원이었다. 1인당 임금소득은 40세에 2,759만원으로 모든 연령대 중에서 가장 많았다.


자영자의 1인당 노동소득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51세로 연 205만원이었다. 자영자의 1인당 노동소득은 자영자의 노동소득 총액을 전체 거주자 수로 나눠서 구하기 때문에 자영자가 벌어들이는 평균적인 노동소득과는 다르다. 자영자는 임금근로자가 아닌 상태에서 노동소득을 벌어들이는 경제활동 주체를 의미하며 자영업자 등을 포괄한다.


1인당 노동소득은 노동소득이 없는 거주자까지 포함해 평균을 구한 것이므로 직업이 있는 이들이 실제로 벌어들이는 노동소득 금액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65세의 경우 연간 노동소득이 811만원이었고 75세는 138만6000원이었다.


1인당 임금소득은 40세에 2759만원으로 모든 연령대 중에서 가장 많았다. 자영자의 1인당 노동소득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51세로 연 205만원이었다. 자영자의 1인당 노동소득은 자영자의 노동소득 총액을 전체 거주자 수로 나눠서구하기 때문에 자영자가 벌어들이는 평균적인 노동소득과는 다르다. 자영자는 임금 근로자가 아닌 상태에서 노동소득을 벌어들이는 경제활동 주체를의미하며 자영업자 등을 포괄한다.


2015년 국내 거주자의 전체 노동소득은 약 752조8000억원으로 전년보다 약 5.4%늘었다. 2011년에는 전체노동소득이 약 621조1000억원이었으며 2015년까지 4년 사이에 약21.2% 증가했다. 65세 이상 노년층의 노동소득은 전체 노동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낮았지만 급격하게 증가하는 추세였다.


이 가운데 15∼64세가 벌어들인 노동소득은 전년보다 0.5% 줄어든 39조6000억원이었고 65세 이상이 번 노동소득은 9.3% 늘어난 2조9000억원이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