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서태영 기자] 현 정부의 강력한 규제에도 서울과 6대 광역시간 아파트 가격 차이는 전 정부보다 더욱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경제만랩에 따르면 지난해 1월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7억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해 3월에는 8억2000만원까지 치솟아 1년새 17%의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같은 기간 6대 광역시 아파트 중위가격은 2억4040만원에서 2억4169만원 상승해 0.54% 오르는 것에 그쳤다.
상승폭에서 큰 차이를 보이며 서울과 6대 광역시 아파트 중위가격의 차이는 5억8000만원 상당 벌어지게 됐다. 이전 정부에서 평균 아파트 중위가격의 격차가 3억원대로 나타났던 것에 반해, 고강도 부동산 규제를 내놓고 있는 현 정부의 기조에도 불구하고 차이는 더욱 벌어지고 있는 것이다.
2017년 5월 이후 지금까지 쏟아낸 부동산 정책은 13회로, 두 달에 한 번 꼴로 부동산 정책을 내놓으며 서울 집값을 옥죄고 있지만 오히려 똘똘한 한 채 선호 현상이 강해지면서 지방 부동산을 처분하고 서울 아파트에 더욱 관심을 집중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아울러 지방의 경우 자동차와 조선 등 지역기반 산업이 침체된데다 다주택자에 대한 대출과 세금 규제까지 더해지면서 서울과 격차도 더 벌어진 것으로 보인다.
오대열 경제만랩 리서치팀장은 “지역간 아파트 가격 양극화는 지방 산업이 무너진 것에 대한 영향도 있지만,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규제가 똘똘한 한 채에 집중시키게 했다”며 “지역마다 부동산 시장 상황이 다른 만큼 지역 상황에 맞춘 정책을 내놔야 한다”고 말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