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상기 법무부 장관, 과거사위 활동 관련 '나홀로' 브리핑

사회일반 / 이상은 / 2019-06-13 16:49:27
취재진들, 기자회견 '보이콧' 결정

2019-06-13 16;47;33.JPG
▲사진=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12일 정부과천청사에서 법조기자들이 참석하지 않은 가운데 과거사 진상 조사 활동 종료 언론 브리핑을 하고 있다.


[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박상기 법무부 장관이 검찰 과거사위원회 활동에 대한 자체 평가와 관련해 취재진의 질의응답 요구를 거부한 채 '나홀로' 발표를 강행했다.


일부 진실규명 성과와 별개로 과거사위 활동으로 빚어진 여러 혼란과 갈등을 놓고 책임론이 제기될 가능성을 회피하려다, 발표 취지마저 살리지 못하는 일을 자초한 게 아니냐는 평가가 나온다.


박상기 법무부 장관은 지난 12일 오후 2시 30분 경기도 과천 정부종합청사에서 검찰과거사위 활동 결과에 대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과거사위를 마무리하는 기자회견 위상을 감안하면 취재진들로 북적여야 하는 게 맞지만, 정작 회견장은 자리를 채우지 못한 텅 빈 책상만 가득했다.


박 장관은 미리 준비해 온 A4 용지 9매 분량의 발표문을 읽어내려간 뒤 곧바로 퇴장했다.


법무부는 박 장관이 질문을 끝까지 거부한 이유에 대해 "브리핑 자료에 충분한 내용이 담겨 있으며, 대변인을 통해 공식적으로 현장에서 질의응답하는 것이 부족하지 않고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과거사청산을 비롯한 검찰개혁 과제를 주도하며 1년6개월간 과거사위 활동을 총괄한 법무부 장관으로서 무책임한 태도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과거사위는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 사건과 고 장자연씨 성접대 의혹 등 굵직한 사건들과 관련해 객관적 근거가 부족한 의혹을 수사하라고 검찰에 권고·촉구하거나 검증되지 않은 일방적 진술을 여과 없이 외부에 공개해 논란을 낳았다. 이 때문에 과거사위 활동 종료를 전후해 민·형사 소송이 여러 건 제기되는 등 검찰의 과오를 돌아본다는 당초 과거사위의 활동 취지마저 여러 논란 속에 빛이 바랬다는 평가가 많다.


법조계에서는 박 장관이 이런 비판을 피하기 위해 텅 빈 브리핑실에서 홀로 입장을 발표하는 굴욕을 감수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당장 박 장관 본인이 고 장자연 사건의 증인인 배우 윤지오 씨에게 범죄피해자보호기금 900여 만원을 부당하게 지급한 혐의로 검찰에 고발된 상태다.


한편 이날 법조기자들은 박 장관이 브리핑에서 질문을 받지 않는다는 것에 항의하며 브리핑을 보이콧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