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한국 전자업계,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 생산국 ⓒ데일리매거진DB
[데일리매거진=김태일 기자] 한국이 지난해 전세계 전자업계에서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 생산국의 지위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최근 5년간 주요국 가운데 3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글로벌 IT 강국'의 입지를 굳혔으나 반도체 등 전자부품에 대한 지나친 '편중'은 극복해야 할 과제라는 지적도 나왔다.
30일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가 발간한 '세계 전자산업 주요국 생산동향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전자산업 생산액은 1천711억100만달러(약 202조7천억원)로 집계됐다.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8%로, 중국(7천172억6천600달러·37.2%)과 미국(2천454만2천200만달러·12.6%)에 이어 3번째였다.
5년전인 2013년(1천111억7천900만달러)과 비교하면 53.3%나 늘어난 것으로, 순위도 일본을 제치고 한 계단 올라섰다.
특히 최근 5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9.0%에 달하면서 상위 20개국 가운데 베트남(11.7%)과 인도(10.9%)에 이어 세번째로 높았다. 중국과 미국은 각각 2.9%와 1.0%였고, 일본은 -2.3%를 기록하며 '역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은 지난해 전체 전자산업 생산에서 차지한 전자부품 비중이 77.3%로, 5년 전보다 18.8%포인트나 높아지면서 의존도가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선통신기기와 컴퓨터가 각각 10.0%와 7.8%로 그 뒤를 이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2017년과 지난해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슈퍼호황' 덕분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역대 최고 실적을 올리면서 전자부품 비중이 큰 폭으로 확대됐다"면서 "덕분에 경쟁국인 일본을 제치고 3위로 올라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