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15~17일 3일 동안 KTX가 세 차례 멈춰 서면서 KTX에 대한 불안감이 다시 커지고 있다.
17일 오전 11시쯤 승객 400여명을 태운 KTX 열차가 경북 김천과 충북 영동 사이에 있는 황학터널(길이 9.975㎞) 안에서 갑자기 멈추었다. 코레일 관계자는 "(열차 바퀴를 움직이는 동력 공급 장치인) 모터블록에 이상이 생겨 기관사가 차량을 정차시켰다"고 말했다.
모터블록은 한 개의 차량에 모두 6개가 있는데, 1개가 고장 나더라도 열차가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가 돼 있다. 따라서 이 사고가 적어도 2개 이상의 모터블록이 한꺼번에 고장 나면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추정하고 있다.
승객들은 어두운 터널 안에 1시간 이상 갇혀 있었으며, 열차는 도착 예정시각인 오전 11시 48분보다 약 1시간 40분 늦은 오후 1시 28분쯤에야 서울역에 도착했다.
이날 오후 1시 45분에는 부산을 출발해 서울로 향하던 KTX 열차가 출발 30분 만에 냉방장치에 이상이 생겼다. 이 때문에 승객 800여명은 약 1시간 45분 동안 찜통이 된 열차에 앉아 있었고, 코레일은 대전역에서 승객들을 다른 열차에 옮겨 태웠다.
앞서 15일 오전 11시 30분쯤에는 경남 밀양역으로 진입하던 KTX산천 열차에서 연기가 발생해 승객 150여명이 다른 열차로 갈아탔다.
코레일은 올 상반기 탈선 등 KTX 사고가 잇따르자 "항공기 수준으로 정비하겠다", "외부전문가에게 철도 안전 전반을 점검을 받겠다"고 발표했지만 그 후에도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김기환 철도기술연구원 고속철도연구본부장은 "핵심부품인 모터블록 때문에 KTX가 멈춰 서는 것은 정비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올 들어 KTX 열차는 모두 36번 차량 고장 때문에 멈춰 섰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