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직장인 10명 중 6명 이상은 결혼 후에 부모님과 가까운 곳에 살고 싶어 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포털 잡코리아(www.jobkorea.co.kr)가 최근 남녀 직장인 527명을 대상으로 ‘결혼 후 집 또는 한동네에서 부모님이나 친지들이 가까이 사는 것’에 대한 찬반의견을 물어본 결과 ‘찬성한다’는 응답이 전체 65.8%, ‘반대한다’가 34.2%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결혼 유무와 성별에 따라 결과를 분석한 결과 기혼직장인은 ‘찬성’이 66.7%, 미혼직장인은 65.3%로 나타나 차이(1.4%P)가 미미했다. 반면 성별로는 남성이 ‘찬성’ 70.3%, 여성이 ‘찬성’ 61.6%로 집계돼 여성이 남성보다 8.7%P 낮았다.
또 ‘부모님과 함께 거주하는가’라는 질문에는 기혼 직장인 중 16.7%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이어 ‘부부 또는 아이와 함께 거주’ 80%, ‘기타’ 3.3%로 조사됐다. 미혼직장인은 70.3%가 부모님과 함께 거주했으며, ‘개인거주’ 25.6%, ‘기타’ 4.1%로 나타났다.
부부 단독 세대일 때 가장 아쉬울 것 같은 점은 ‘아이를 봐줄 사람이 없을 때’가 33.4%로 가장 많았다. 이어 몸이 힘들거나 아플 때(26.4%), 집에 큰 일이 생겼을 때(19.0%), 외로울 때(14.2%), 가계에 경제적으로 부담을 느낄 때(6.8%), 기타(0.2%) 순이었다.
부모님과 친지들이 모여 살 때 가장 걱정되는 점으로는 ‘살림이나 생활에 대한 참견’이 29.2% 비율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자주 드나들어야 한다는 부담감(25.2%), 가족 사생활 노출(21.8%), 가계지출이 늘어나는 것(12.1%), 참여해야 할 집안 행사가 많아지는 것(11.4%), 기타(0.2%) 순으로 답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