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보신당 임시당대회서 통합안 부결… 참여당 문제로 발목

미선택 / 배정전 / 2011-09-05 13:21:32
"도로 민노당 안된다" 거센 저항..지도부 '책임론'

[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진보신당의 4일 임시당대회에서 민주노동당과의 통합 합의문이 부결된 가장 큰 원인은 국민참여당의 통합 진보통합 합류 문제다. 실제 지난 1월20일 민노당과 진보신당, 민주노총 등이 진보대통합 연석회의를 가동한 이후 8개월여 진행된 진보대통합 논의는 줄곧 험로였다.

지난 5월31일 양당이 통합의 기본적 원칙을 합의한 뒤에도 결과가 불투명했던 것이나, 진보신당이 6월26일 당대회에서 5·31 합의문에 대해 미흡하지만 존중하면서도 추인을 차기 당대회로 미룬 것도, 통합 진보정당에 참여당 합류 문제가 명확히 정리되지 않았던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지난달 28일 민노당과 진보신당이 참여당 합류 문제가 합의되지 않더라도 오는 25일 통합 진보정당을 출범하기로 하면서 꼬인 실타래가 풀리는 듯했다.

그러나 민노당 측은 참여당 합류에 대해 “창당대회 전부터 논의하자”는 입장을 보였고, 이에 진보신당 독자파는 참여당 문제가 잠복해 있는 문제일 뿐 해소된 게 아니라는 의구심을 떨치지 않았다.

진보신당 지도부의 통합 추진 방식에 대한 내부 불만도 컸다. 독자파들은 통합파들이 ‘합의문이 부결되면 우리는 다 죽는다’는 식으로 통합을 압박하고 굴복을 요구하고 있다고 반발해왔다. 조 대표가 당대회 인사말에서 “협상 과정에서 당 지도부가 당원들과의 의사소통이 원활치 않았음을 지적한 사람들이 있는데 그 부분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있고 이는 모두 나의 나태함과 불찰 때문”이라고 말한 것에는 이같이 배경이 깔려 있다.

자주파(NL)와 평등파(PD)의 뿌리깊은 갈등도 합의문 거부의 원인이 됐다. 2008년 초 민노당이 쪼개질 때 제기한 자주파에 대한 근원적 문제, 즉 북한에 대한 입장과 패권적 운영에 대한 회의론도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민노당이 변했는가’에 대한 확신없이 통합해봐야 ‘도로 민노당’이 될 것이고, 갈등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결국 민노당과 진보신당은 2008년 2월 분당된 지 3년반 만에 다시 독자의 길로 가게 됐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