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한나라당이 '신재민 파문'에 이어 줄줄이 터지는 이명박 대통령 측근 비리 의혹으로 전전긍긍하고 있다. 저축은행 구명로비 대가로 금품을 받았다는 의혹에 휩싸인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에 이어 장관 후보자까지 올랐던 신재민 전 문화체육관광부 차관까지 비리의혹이 연쇄적으로 터진 데 대한 당혹감이다. 당내에선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 등 재·보선이 ‘정권심판론’으로 치러질까봐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회에서 열린 한나라당 최고위원회의에선 파장을 우려한 듯 공개적인 관련 발언은 나오지 않았다. 김기현 대변인(52)은 회의 브리핑에서 “신 전 차관 본인은 아니라고 하니까, 수사를 해봐야 안다. 우리가 가타부타할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저축은행 영업정지도 그렇고, (신 전 차관 사건도) 결과적으로 당으로서는 부담이 되겠죠”라고 했다.
당내에선 한숨이 터져나왔다. 특히 ‘임기 말 권력형 비리’로 특징지워질 사건들이 잇따라 터지면서 안 그래도 쉽지 않은 선거판세가 어그러지고 있다는 인식이 팽배하다.
당 관계자는 “인물 중심, 정책 중심으로 치러져도 쉽지 않을 선거다. 정권심판론 때문에 선거가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23일 출마를 선언하는 나경원 최고위원(48) 측도 편치 않아 보인다. 나 최고위원 측 한 인사는 “선거에 영향을 받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반면 민주당은 공세 수위를 높였다. 신재민 파동을 주시하면서 ‘정권심판론’의 불씨를 점화하겠다는 의도가 엿보인다.
이용섭 대변인(60)은 브리핑에서 “정권 말 권력실세들의 부패와 비리가 하나둘씩 세상 밖으로 드러나고 있다. 알려진 액수나 수수 기간도 놀랍지만, 돈의 일부가 대선 경선캠프로 흘러들어갔다는 주장은 가히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김유정 원내대변인(42)도 “측근 비리와 권력형 게이트는 정권 말기적 현상이다. 자고 나면 터지는 측근 비리에 이명박 정권의 ‘블랙아웃’이 머지않았음을 국민은 직감하고 있다”면서 “이명박 정권이 외치던 공생발전이 결국 국민의 피눈물과 기업의 돈을 먹고 그들만 잘살겠다는 기생발전은 아닌지 개탄스럽다. 검찰의 즉각적이고 철저한 수사를 다시 한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