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거짓해명' *박영선 '아들 국적'
*박원순 '강남 월세' *이석연 '고액 수입'
[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10·26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한달여 앞으로 다가온 현재, '서울시장 후보 빅4'는 저마다 네가티브 고민에 사로잡혔다.
26일 한나라당 후보로 추대된 나경원 최고위원(48)은 2004년 6월 서울 신라호텔에서 열린 자위대 창설 5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 것이 그것이다. 나 후보는 트위터에 "내용을 모른 채 갔다가 금방 나왔다"고 해명했지만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는 "'참석 예정'이라는 국회의원들에게 항의팩스도 보냈다"면서 나 후보의 '거짓 해명'을 문제삼았다.
나 후보는 '사학재벌의 딸'이라는 점도 부담이다. 나 후보의 부친은 화곡중·고교를 운영하는 흥신학원 등 법인과 학교 3개의 이사장을 맡고 있다. 나 후보가 사학법 파동 때 장외투쟁에 적극적이었던 것도 '사학 감싸기'의 일환으로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이에 나 후보 측은 "당론이어서 반대한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 박영선 후보(51)는 아들의 국적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현재 일본에 거주 중인 아들(13)의 이중국적이 논란거리다. 박 후보의 아들은 한국에서 태어났으나 미국 이민가정 출신으로 당시 미국 국적자였던 박 후보 배우자를 따라 자동으로 미국 국적을 갖게 됐다. 박 후보자의 남편은 지난 6월 한국 국적을 취득했다. 박 후보자 측의 대변인인 김형주 전 의원(48)은 "아이는 자동으로 아빠 국적을 부여받게 돼 있고, 18세가 되기 전까지는 부모가 결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박원순 변호사(55)는 포스코 등 대기업의 사외이사를 지내며 수억원대 수입을 올리고 재벌 후원금을 받은 사실이 취약 포인트다. 박 후보는 경향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사외이사를 하며 받을 수 있는 스톡옵션은 아예 받지 않았고 그 외 수입과 재벌로부터 받은 후원금도 모두 아름다운재단과 희망제작소에 전액 기부했다. 개인적으로 돈을 쓴 적은 없고 사용내역은 인터넷에 다 공개돼 있다"고 했다.
또 박 변호사는 강남 압구정동의 61평 아파트에서 월세 250만원을 지급하며 살고 있는 점도 '시민후보'와 거리가 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에 박 후보는 "시민운동을 하면서 전세에서 월세로 계속 재산이 준 상황이고 10번 넘게 이사를 다녔다. 지금 집은 아내의 사업과 아이들 학교 문제로 살고 있다"고 밝혔다.
이석연 전 법제처장(57)은 헌법재판소 연구관 사직 후 변호사로 헌법소원을 도맡아 고액의 수임료를 받았다는 논란을 빚고 있다. 이 후보는 "헌법소원은 공익소송으로서 돈이 안되는 소송이다. 다른 법조계 사람들은 헌법소원을 안 하려고 한다. 일부 수임료를 받은 것도 있지만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 행정수도 위헌소송 등 기획소송은 내 돈을 들여서 했다"고 말했다. 법제처장을 그만두고 7~8곳의 기업 및 단체고문을 맡고 있는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이 후보는 "운영하고 있는 로펌 명의로 맺었다. 돈도 로펌으로 들어가고 기여한 정도에 따라 분배받는다"라고 해명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