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제일·토마토저축 피해자 연대”

미선택 / 배정전 / 2011-09-27 11:55:48

저축은행.jpg[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김옥주 부산저축은행 비상대책위원장은 26일 “고양종합터미널 불법대출건에서 보듯 전국 저축은행의 불법대출 행태는 비슷하다”며 “수차례 검사를 나가고도 이를 적발하지 못한 금융당국의 관리 소홀 책임이 크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이렇게 말하고 “피해보상이 완전히 이뤄지기까지 본점 점거농성을 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저축은행 비대위는 5000만원 초과 예금자와 후순위채권 피해자들로 구성됐다. 지난 5월부터 4개월째 부산 동구 초량동 부산저축은행 본점을 점거해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예금보험공사는 지난 23일부터 3주간 일정으로 부산저축은행 자산실사에 들어갔다. 예보는 그동안 부산저축은행 피해자들이 본점을 점거해 실사를 할 수 없다며 매각작업을 미뤄왔다.

김 위원장은 “이번에 영업정지당한 제일·토마토 저축은행 피해자들과 연대할 방침”이라며 “서울·수도권 피해자가 많은 만큼 힘을 모을 여지가 크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서울 송파구 가락동 제일저축은행 본점과 강남구 역삼동 토마토저축은행 인근에서 열린 피해자 모임에 참석했다. 제일·토마토 저축은행 피해자 홈페이지에는 “부산저축은행 비대위와 경험을 공유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연대에 찬성하는 의견들이 속속 올라오고 있다. 부산저축은행은 제일·토마토 저축은행과 함께 패키지로 묶여 매각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저축은행 업계는 보고 있다.

김 위원장은 “저축은행 영업정지의 경우 금융당국의 재량권이 엄청난데, 당국이 어떻게 판단하느냐에 따라 저축은행의 생사가 갈릴 수 있다”며 “(PF사업장) 토지가격을 공시지가 이하로 떨어뜨리면 살아남을 저축은행이 없다”고 말했다. 그는 “현 정권과 가까운 지역은 영업정지를 당한 저축은행이 없다”며 “저축은행 생사 여부를 결정짓는데 정치적, 지역적 요인이 개입됐다고 믿고 있다”고 말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