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태희 대통령실장은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에 대해 "우리가 당초 주장했던 대 원칙, 원칙있는 남북 대화의 기조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임 실장은 2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지난달 30일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의 방북이 남북 당국간 대화 등으로 이어지는 게 아니냐는 일부 관측과 관련해 이같이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7월26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남북관계 개선 흐름과 관련, "원칙있는 대화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었다.
북한과 대화에 나서되, 대화를 통해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대한 사과 등 북한의 변화를 끌어내야 한다는 의미다.
임 실장은 "홍준표 대표도 이 기조를 지켜야 한다는 확고한 생각을 갖고 있다"며 "다만, 홍 대표가 생각하는 것은 전쟁 중에도 대화는 있는게 아니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부도 비정치적 분야에서의 대화, 인도적 측면, 기왕에 일어나고 있는 경제적인 거래에 대한 대화는 할 수 있다는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그는 '우선 남북 당국간 회담을 열고 북한의 사과를 듣자'는 일부 주장에 대해 "그렇다 하더라도 대화의 성격상 사전에 (사과 문제 등이)얘기가 되어야 한다"며 "표현하는 형식과 공개하는 형식의 문제인데, 어쨌든 사전에는 얘기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전 사과 없이 대화를 하는 것은 원칙있는 대화의 기조를 벗어났다고 보는 것"이라며 "이 문제의 해소 없이 본격적인 대화는 하기 어렵다는게 그 동안의 기조"라고 말했다.
이밖에 그는 남·북·러 가스관 연결 사업과 관련, "러시아의 가스는 워낙 내륙에 있기 때문에 물건은 있는데 팔 곳이 없는 상태고, 따라서 한국이 굉장히 중요한 고객"이라며 "북한이 가스관을 잠그면 어떻게 하느냐는 얘기가 나오는데, 가스가 우리 영역으로 들어올 때까지는 러시아가 책임지기 때문에 가스관을 잠그면 곧 러시아와 북한간의 문제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뉴시스 제공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