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27일 오후 국회의원 295명 전원에게 서한을 보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은 결코 여야가 대결해야 하는 의제가 아니다"며 비준을 촉구했다.
이 대통령은 당초 한·미 FTA 관련 국회연설을 추진했지만 민주당이 'FTA 선결조치를 갖추고 나서 논의해도 늦지 않다'며 반대해 무산됐다.
이 대통령은 "국정연설을 통해 정부의 입장을 설명할 기회를 갖고자 했으나, 여의치 않게 되어 부득이 이렇게 편지를 드리게 됐다"며 "준비했던 연설문도 함께 동봉했다"고 밝혔다.
이 서한에서 이 대통령은 "한·미 FTA는 정권의 이익이 아니라 철저히 국익이라는 기준에 입각해 시작되었고 마무리되어야 한다"며 "단순히 경제 차원을 넘어 외교와 안보 차원에서도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 FTA로 피해를 보는 분야에 대해 대책을 세심하게 세워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잘 알고 있고, 저도 생각이 똑 같다"면서 "한·미 FTA협상 과정에서도 이에 대해 유념에 유념을 거듭했고, 앞으로도 더욱 관심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또 "정부는 단순한 피해 보상 차원의 지원을 넘어 우리 농업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는 산업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도록 혼신의 힘을 다할 것"이라며 이미 총 22조1억원 규모의 '농·어업 경쟁력 강화 종합대책'을 마련, 예산에 반영해 집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우리 국회는 통상 문제에 관해서는 일치단결해 대응하는 아름다운 전통을 갖고 있다"며 "이러한 전통이 계속 이어지기를 소망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의원님의 결정이 역사의 한 페이지를 새롭게 여는 결정임을 기억해 주셨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동봉한 국정연설에서도 "역사를 보면 담을 쌓은 나라는 망하고, 길을 닦은 나라는 융성했다"며 "폐쇄적인 자족 경제의 길로 갔다면 오늘의 대한민국은 없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대통령은 "앞으로도 미비점이 있으면 여야 논의에 따라 보완해 나갈 것"이라며 "하지만 단순한 피해보상 보다 경쟁력을 강화해 세계시장으로 나아가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선거로 혼란스러운 정국을 가능한 빨리 수습하고, 한·미 FTA 국회 비준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