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원이 개설된 외국 20개 지역에 한류 팬클럽 182개, 회원은 330만명에 이른다.
1일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에 따르면, 권역별로는 일본·중국·베트남 등 아시아 8개 지역이 84개 231만명으로 가장 많다. 이어 워싱턴·뉴욕·아르헨티나 등 미주 4개 지역 25개 50만명, 영국·프랑스·터키 등 유럽 7개 지역 70개 46만명 순이다.
지역별로는 상하이 11개 105만명, 베이징 14개 73만명, 뉴욕 6개 50만명, 러시아 23개 26만명, 터키 17개 17만명 순이다.
문화부는 "이는 해외 한국문화원 지역에서 공식적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는 팬클럽만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라며 "실제로는 이보다 크게 웃돌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은 공식 팬클럽 사이트만 200개 이상이지만 대부분 상업화를 목적으로 유료, 회원 비공개로 운영되고 있어 추산에서 제외됐다.
한류 팬클럽을 유형별로 보면 가수별 팬클럽이 115개로 가장 많고 연기자 24개, 영화·드라마 16개 순이다. 모든 장르를 망라하는 종합적 성격의 팬클럽도 27개에 달한다.
대체로 일본·중국 등 아시아 대부분 지역과 폴란드·터키·러시아·아르헨티나 등 한류가 활발하게 확산한 지역일수록 팬클럽이 가수, 연기자별 등으로 세분돼 있다.
이와 별도로 개인별 한류 팬클럽의 연합체적인 성격으로 해당 지역 한류활동의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는 팬클럽도 있다.
지난 6월 SM타운 파리공연 연장 시위를 주도한 프랑스의 '코리안 커넥션'이나 4만여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한류관련 인터넷 잡지, 일간 신문, 라디오 등을 운영하는 터키의 '코리아 팬스' 등이다.
문화부는 "이러한 팬클럽은 정기적인 오프라인 모임을 하면서 한국 문화 축제를 기획해 개최하는 등 단순한 한국 문화의 소비자가 아니라 한국 문화의 능동적 전파자로서 한류 붐 확산의 별동대 역할을 하고 있다"며 이번 조사를 계기로 한류가 역기류 없이 순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한편 전통문화 등 순수 문화로도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뉴시스 제공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