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민주당이 "연내에 통합정당을 출범하겠다"며 구체적인 일정과 절차를 발표했다. 이는 3일 밝힌 야권통합 정당 로드맵을 구체화한 것으로 야권통합 논의가 본궤도에 올랐음을 시사한다.
야권통합은 민주당과 범야권 시민사회 통합추진기구 '혁신과 통합'이 대통합론을 제시하고, 민주노동당과 국민참여당은 진보대통합에 무게를 두는 양대축으로 출발했다. 양측 모두 통합의 필요성은 인정하고 있지만 계파간 입장 차이를 보이고 있다.
손학규 대표는 4일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민주진보세력의 통합을 위해, '더 큰 하나'를 위해 저희의 모든 것을 걸겠다"면서 야권통합을 추진했다. 이어 손 대표는 "많이 가진 소수와 적게 가진 다수 간의 망국적 분열에 대한 극복의 시작은 민주진보세력의 통합"이라면서 "민주당이 먼저 문을 활짝 열고 헌신할 것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또 "민주진보진영의 제정당, 민주진보의 가치를 따르는 각 정파 및 노동·시민사회 세력, 모든 민주진보진영의 인사들은 새로운 민주진보 통합신당에 참여할 것을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민주당은 이달 말까지 민주진보통합정당추진기구를 구성하고 12월 말까지 통합정당을 출범하는 일정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정당·정파 대표자 연석회의'를 꾸려 야권통합의 원칙, 범위, 추진 일정 등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낼 예정이다. 민주당은 당 통합추진위원회를 출범시키고, 손 대표가 위원장을 맡았다.
손 대표는 기자회견에 앞서 혁신과통합 상임대표인 이해찬 전 국무총리와 문성근 국민의명령 대표를 만나 이 같은 통합 일정과 방법에 공감대를 형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재인 노무현재단 이사장과는 회견 후 전화로 합의했다고 알려졌다. 실제 혁신과통합은 "민주당 제안에 적극 환영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과 혁신과통합이 야권대통합론을 목표로 통합의 신호탄을 쏘게 됐다.
하지만 대통합으로 가는 길이 쉽지만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각 진영 내에서도 입장이 갈리는데다 민주당 역시 12월 전당대회를 준비하고 있어 당내 의견이 엇갈리기 대문이다. 김부겸 의원은 "지도부가 철저한 자기반성 업이 야권통합 추진을 공식화했다"고 했고, 박지원 의원도 "통합 추진과 전당대회를 통한 총선 준비를 '투 트랙 방식'으로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의원총회에서도 격론이 이어졌다. 의원들은 진보정당을 제외한 통합 추진과 구체적 일정 제시를 요구했다. 통합 시한을 두고 12월 말로 잡은 게 손 대표의 임기연장 노림수가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손 대표는 "나는 공천, 지분, 임기에 대해 딴 생각이 없다. 그런 식으로 보면 인격모독"이라고 반박했다.
'혁신과통합' 측은 진보진영을 포괄하는 대통합을 추진하되 마냥 기다릴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문재인 이사장은 "일정 시기가 될 때까지 진보정당 간 통합 논의가 매듭지어지지 않는다면 대통합에 동의하는 세력들이 먼저 통합을 추진하고 진보정당들은 언제든 동참하는 방식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단계적 통합론을 주장했다.
민주노동당 등 진보진영의 대답은 회의적이다. 진보진영은 선진보통합 후 민주당과 총선·대선에서 연대하는 방안이 무게있게 논의되고 있다. 지난 9월 무산된 진보대통합을 먼저 이루자는 것이다.
이런 분위기 속에 민노당·진보신당 탈당파인 노회찬·심상정·조승수 전 대표는 그들이 주축이 된 '새진보 통합 연대'를 중심으로 진보대통합을 이끌기 위해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탈당파 3인은 조만간 3자회동을 갖고 진보 통합의 절차·방식을 논의하기로 했다. 통합연대는 이날 진보대통합정당 창당을 다음달 10일까지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민노당 우위영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지금은 힘있는 진보정당이 절실히 필요한 때라고 했다.
두 축으로 갈라진 야권대통합이 올해 말을 시한으로 잡고 있지만 내년 총선에 임박해 마무리 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