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박대웅 기자] 10·26 재·보궐선거에서 참패한 여권이 각가지 쇄신안을 쏟아내며 '당 쇄신'을 외치고 있다. 하지만 그 현실성과 실효성 여부에는 물음표만 따라 붙는다.
한나라당 쇄신파 의원들은 6일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와 '747 공약'(7% 경제성장, 국민소득 4만 달러, 세계 7대 경제강국) 폐기 등을 요구하는 서한을 청와대에 전달했다. 여기에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는 7일 열리는 최고위원회에서 중앙당사 폐지 등 주요 당 쇄신 방안을 제시하며 당 쇄신을 공론화했다. 하지만 청와대의 반발과 이해득실에 따른 계파간 갈등 조짐 등 현실성과 실효성에 의구심이 든다.
대통령 사과 등을 필두로한 여권 소장파의 쇄신안에 6일 김효재 청와대 정무수석은 "대통령께서 국가 이익을 위해 해외에 머물고 있는 동안 이런 방식으로 문제를 제기한 것은 유감"이라고 말했다. 비록 홍 대표가 제안한 중앙당사 폐지 방안은 비용절감과 함께 원내정당화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부유세의 한 형태인 '버핏세' 도입이나 폐지됐던 출자총액제한제(출총제) 부활 등은 한나라당의 정체성을 흔드는 방안이어서 내부 합의를 이끌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
때문에 여권의 쇄신안이 10·26 재·보선에서 나타난 민심이반 확대를 막고 내년 총·대선에서 승리하기 위한 일종의 '정치 쇼'라는 지적이 힘을 얻고 있다. 대통령의 '유체이탈 화법'을 문제삼으면서 민심이반의 모든 책임을 대통령에게 돌리는 여권의 또다른 '유체이탈 화법'은 여권 쇄신의 진정성만을 의심케하는 처사다. 특히 소장파 의원들이 내부 협의 등을 거치지 않고 공개적으로 대통령을 몰아부치는 것은 책임을 통감하고 뼈를 갂는 자구책 마련을 촉구하는 국민의 뜻과 배치되는 행동이다.
한나라당이 대통령 사과, 중앙당 폐지, 국민참여 경선을 통한 비례대표 공모, 부유세 도입 등 각종 아이디어만 쏟아 내는 것은 여권이 따로 놀고 있다는 의심을 확인시켜 주는 꼴 밖에 되지 않는다. 한나라당은 이벤트식 발상에서 벗어나 국민 앞에 쇄신에 대한 진정성을 보여야 한다.
한나라당은 모든 걸 내려놓고 원점에서 다시 시작해야 한다. 한나라당의 갈길은 아직 멀고도 험하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