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진보통합이 총선 후보 경선 방식을 놓고 진통을 겪고 있다. 민주노동당·국민참여당·새진보통합연대 등 진보 3자는 지난 10일 극적으로 통합에 잠정 합의했지만 세부 논의에서 이견을 보이며 내홍을 겪고 있다. 3자 통합이라는 대의보다 지분·주도권 다툼이 격화된 형국이다.
민노당·참여당과 노회찬·심상정·조승수 전 진보신당 대표를 중심으로 한 통합연대는 13일 오후 실무자 협상과 대표 간 회동을 잇달아 갖고 쟁점을 조율했으나 합의를 이끌어내지는 못했다. 민노당 우위영 대변인은 "민노당·참여당은 11월10일 합의문을 수용했지만 통합연대의 수용 거부로 성사되지 못한 것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협상 쟁점은 국회의원 후보 선출 방식이다. 잠정 합의문에는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를 각 세력이 합의해 정하되, 합의가 도출되지 않으면 당원 50%, 여론조사 50%를 취합해 경선을 실시하기로 했다. 비례대표는 70%를 당원이 1인 1표씩을 행사해 선출하고, 나머지 30%는 개방형으로 영입 인사로 채우기로 했다.
반면 통합연대는 지역구 후보 공천에서 합의가 되지 않을 경우 경선이 아니라 대표단에 후보 선정권을 위임하고, 비례대표 개방형 비율도 50%로 늘리는 수정안을 11일 추가로 제시했다. 민노당 최고위원회의는 12일 통합연대 측에 "13일 오후 1시까지 결론을 내려달라"고 통보했고, 참여당도 일단 원안 고수 입장에 섰다. 하지만 13일 협상에서 민노당 측이 원안대로 할 것을 재차 요구하면서 접점 마련에 실패했다.
진보진영 대통합은 지난 9월 '지분 나누기'라는 암초에 걸려 좌초된 바 있다. 때문에 진보진영이 지나치게 욕심을 부리고 있다는 말이 나오고 있다. 통합연대 측에 대해서는 잠정 합의를 뒤집으며 시간 끌기롤 하고 있다는 말도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