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을 비롯한 범야권의 대통합 논의가 20일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민주당·'혁신과통합'·한국노총·시민사회세력 등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통합정당 출범을 위한 대표자 연석회의를 열고 통합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는 "사회적 차별과 양극화를 극복하고 정의로운 복지사회를 열기 위해 하나가 됐다"며 "전쟁과 남북대결을 끝내고 평화로운 통일 시대를 열기 위해 대통합의 길에 나선 것"이라고 말했다.
손 대표는 "이 자리는 대의를 세우고 대한민국의 미래를 정하는 자리"라면서 "우리 안에 있는 사리사욕·당리당략을 모두 내려놓고 대의를 보고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정동영 민주당 최고위원은 "연석회의가 열리는 이 자리가 청문회를 하는 장소"라며 "(오늘은) 내년 민주진보 통합정당이 압도적 다수당이 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나 론스타, 4대강 청문회를 여는 첫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과거 대공황으로 미국의 경제가 반토막 났을 때 민주당이 진보적으로 거듭낫듯이 제1야당인 민주당이 통합을 통해 진보적 민주당으로 거듭나 2013년 체제를 힘있게 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해찬 '혁신과통합' 상임대표는 "우리나라 정당 역사에서 한국노총뿐 아니라 서울시장·경남도지사 등이 단체장의 이름을 걸고 통합에 참여하는 것은 처음"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 전 총리는 "예전에는 총구에서 권력이 나온다고 했지만, 이제는 스마트폰에서 권력이 나온다"며 "새로운 시대에 맞는 혁신적 정당을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문재인 상임대표는 "통합의 폭이라는 면에서 볼 때 굉장히 성공적"이라며 "이제는 젊은 세대들까지 참여하고 소통하는 정당을 만드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국민들은 선거 외에 정당정치에 참여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며 "이제는 대통합정당의 의사결정, 정책결정 그리고 공직후보자 선출과정에 적극 참여해 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국노총 이용득 위원장은 "국민들은 지금까지 정치세력만 정치를 한다고 생각했다"며 "노동계와 시민사회가 함께 참여함으로써 국민과 함께 하는 정치의 모습을 보여 줬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이번 자리가 한국노총에 있어 마지막 정치세력화 시도가 되기를 바란다"며 "그동안 정치현실에서 소외된 1600만 노동자를 대변하는 활동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손학규 대표를 비롯한 민주당 지도부 전원과, 이해찬·문재인 등 혁신과통합 상임대표단, 이용득 위원장 등 한국노총 지도부, 진보통합 시민회의 이학영 상임의장·조성우 상임공동대표, 복지국가소사이어티 최병모·이상이 공동대표 등이 참석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