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야권 통합과정에서 대립각을 세우고 있는 손학규 민주당 대표와 박지원 전 원내대표가 27일 심야회동을 갖고 '선통합 후 신당 지도부 선출'안에 합의했다. 이는 민주통합신당호의 청신호로 해석된다. 특히 통합 과정에서 갈등과 대립, 협력을 이끌었던 손 대표와 박 전 대표 그리고 이해찬 전 국무총리 모두가 이 방안에 공감하고 있어 고무적이다.
'혁신과 통합'은 가칭 시민통합당 중앙당 설립을 위해 5개 시도지구당 창당대회를 오는 30일과 12월1일에 개최한다. 또 12월10일 이전에 중앙당 창당대회를 열고 선관위에 등록할 예정이다.
창당대회에서는 민주당과 통합을 담당할 수임기구를 구성하고 통합에 관한 전권을 위임한다. 민주당쪽 수임기구와 합동회의를 열어 통합협상을 마무리 짓고 합당 의결을 하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어 통합정당 전당대회를 갖고 새 지도부를 선출한다는 것이 골자다.
손 대표와 박 전 원내대표 간 합의로 민주당은 빠르면 12월11일 통합을 담당할 수임기구를 구성하는 전당대회를 열어 '혁신과통합'과의 보조를 맞춘다.
한편, 손 대표와 박 전 원내대표의 이날 심야 회동자리에서 양쪽이 갈등을 빚어 왔던 지도부 선출방식에 대해서는 어떤 합의가 이뤄졌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양쪽이 일단 절차에만 합의하고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해서는 시간을 두고 합의하기로 뜻을 모았을 가능성이 높다.
통합 과정을 이끌 임시지도부 구성은 양쪽의 이해가 엇갈리는 부분이다. 임시지도부가 어떻게 구성되느냐에 따라 통합정당의 지도부 선출 방식도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양쪽 모두의 지지를 받으면서 통합을 이글 수 있는 인물이 마땅치 않다는 점도 문제다.
여기에 통합정당 지도부에 시민참여의 폭을 얼마나 할당하는냐도 쟁점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