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데일리매거진=배정전 기자] 당초 12월 예정이던 4대강 사업 준공 사업이 해빙기 이후 최대 6개월 연기된다. 정부는 공사 부작용과 안전 점검 등의 이유로 해빙기 직후인 내년 4월 총선 전후로 준공하기로 한 것이다. 하지만 내년 4월 총선과 연계해 정치적 이용 논란이 거세다.
김석현 부산국토관리청장은 29일 "내년 해빙기에 4대강 사업 구간의 안전 문제를 최종 점검한 후 상반기 내에 준공하겠다"며 "안전을 위해 공사 후 1년 정도 지켜보고 준공했으면 좋겠지만 홍수기를 넘기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4대강 사업 구간 중 구조물이 전혀 없는 구간을 제외하고 낙동강 구간 8개 보 등 복합공정이 진행 중인 16개 보 대부분은 내년 4월을 전후해 내년 3월말부터 순차적으로 준공될 것으로 보인다. 김정훈 부산국토관리청 하천국장은 "낙동강 구간의 보 개방 행사를 위해 물을 담아 내려보니 당초 예상과 달리 일부 하자가 발견됐다"며 "미연에 하자 가능성을 모두 없애자는 취지에서 준공을 늦추게 됐다"고 설명했다.
국토해양부 역시 이날 누수 현상이 발생한 상주보에 대해 실시한 긴급안전점검을 4대강 전체 보로 확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개방 후 부실이 확인된 구미보 하류쪽 세굴 방지 보호공 등 일부 보의 시설물도 보강하고, 하자가 발견된 자전거도로 보수 및 4대강 공사 구간 중 흙으로 된 사면에 대한 붕괴 여부 확인 등의 작업도 내년 초까지 벌이기로 했다.
하지만 이같은 정부의 계획에 대해 내년 4월 총선을 염두해 둔 정치적 계산이 깔렸다는 비판이 거세다. 한미자유무역협정(FTA) 국회 비준으로 발효 시기까지 야당과 농민, 시민단체의 반발이 거센 가운데 반발이 예상되는 4대강까지 준공할 경우 성난 민심에 기름을 부을 수도 있다는 분석이다.
때문에 내년 4월을 전후해 선거 프리미엄을 염두해두고 준공일자를 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또 지난달부터 공사도 끝나지 않은 보의 개방행사를 서둘러 연 것도 준공식이 늦어질 것을 염두해 둔 4대강 홍보 전략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한편 한국시설안전공단은 이날 경북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상주보에 대해 콘크리트 내구성 및 수중 조사 등 긴급안전점검을 한 결과 안전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면서도 "장기적인 내구성 확보를 위해 콘크리트 접합용 습식 에폭시 주입 등 보강공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