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통합협상위원회를 구성하고 '혁신과 통합'과 통합 논의를 재개할 채비를 갖추자 야권 통합 전당대회에 나설 당권주자들도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민주당은 11일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 통합안과 수임기구 구성에 대해 의결하고 12일부터 혁신과 통합 측 '시민통합당'과 합당 절차를 밟게 된다.
통합 논의가 신속하게 진행된다면 12월 중순 통합 신당이 창당되고 연내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가 열릴 가능성도 있다.
야권 통합이 가시화되자 당권을 누가 차지하게 될 지에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현재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 시민사회에서 20여명의 후보군이 출마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 후보 중에서는 한명숙 전 총리와 박지원 전 원내대표가, 민주당 밖 후보로는 문성근 국민의 명령 대표가 앞서가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 전 총리는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 양측에서 모두 고른 지지를 얻고 있어 1인2표제가 적용될 경우 득표에 유리한 것으로 평가된다.
박 전 원내대표는 민주당 내 세가 가장 강하고 원외 지역위원장들의 지지를 가장 많이 확보해 당원 투표 방식에서 가장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문 대표는 지원 조직이 취약하지만 인지도가 높고 비(非) 민주당 후보라는 대표성이 있어 국민참여 경선 방식으로 진행될 경우 경쟁력이 높다.
민주당 내 인사 중 이인영·박주선 최고위원과 정대철 상임고문, 김부겸·이종걸·이강래·우제창 의원 등도 출마 의사를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또 조배숙 최고위원, 김태랑·우상호·정균환·김한길 전 의원도 후보군으로 꼽힌다.
민주당 밖에서는 이학영 전 YMCA 사무총장의 출마 가능성이 높고, 김기식·남윤인순 내가꿈꾸는나라 공동대표와 이용선 혁신과 통합 상임대표도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다.
민주당과 혁신과 통합의 협상이 재개될 경우 의견차를 좁히기 가장 힘든 부분은 '경선룰'이 될 것으로 보인다.
박지원 전 원내대표 등 민주당 내 당권 주자들은 선거인단 구성에 있어 당원·대의원 투표 비율을 높이길 원하지만 비민주당 계열과 대중 지지도가 높은 민주당 주자들은 국민참여 경선을 선호한다.
결국 경선룰 협상을 통해 각 세력의 의견이 조율돼야 하지만 당권 주자의 수가 많고 사정도 각자 달라 합의를 이루기까지 진통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투표는 1인2표제가 적용될 가능성이 크고 인터넷·모바일·현장 투표를 병행하는 쪽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최고위원은 경선에서 6명을 선출하고 원내대표와 청년대표 2명을 당연직 최고위원으로, 대표가 지명하는 2명을 지명직 최고위원으로 임명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민주당은 4일 정세균 위원장 주재로 통합추진위원회 첫 회의를 열어 내주부터 진행될 혁신과 통합 과의 통합 논의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