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중앙위 후 결과 브리핑을 통해 비대위원장 선임에 대한 권한은 당무위-의원 연석회의에 위임키로 했다고 밝혔다. 또 당 대표가 공석일 경우 2개월 내 임시전대를 열어 새로 선출하도록 돼 있는 당규에 특례부칙을 신설, 임시전대를 6개월 이내에 개최할 수 있도록 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 도서관 지하 대강당에서 열린 중앙위에서 "원내대표와 비대위원장 겸직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며 "나는 원내대표 잔여 임기를 맡겠으니 비대위원장에 새로운 분을 모시자"라고 제안했다.
이어 "나는 개인적으로 겸직에 반대했고 원대대표에 입후보할 때 분리를 공약으로 내걸었다"며 "그 공약으로 당선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여러분이 동의를 해주시면 어떤 방법으로 선출할 것이냐에 대해서는 당의 원로들과 논의를 하겠다"며 "그 결정에 따라 당무위와 의총을 다시 열어 비대위원장을 선출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보이지 않는 계파 싸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초선 의원들 모임에서 의견을 들어보니 교황선출식 방법이 괜찮다고 한다"며 경선 보다는 추대 형식이 바람직하다는 뜻을 밝혔다.
김태랑 중앙위원은 "박 원내대표가 이런 문제를 다시 논의하자고 하지 않았으면 내가 겸직을 무효라고 주장하려고 했었다"라며 긍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강기정 의원은 "국민들은 우왕좌왕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며 "당무위와 의총에 (선출권을) 다시 넘길 게 아니라 원내대표 겸 비대위원장의 권한으로 의견을 수렴해서 (비대위원장을) 결정해달라"고 말했다. 선거를 연거푸 치르느니 사실상 당 대표의 권한을 가진 박 원내대표가 총의를 모아 비대위원장을 지명하라는 제안이다.
우원식 의원은 "원내대표 겸 비대위원장 권한 하에 추대위원회를 구성해 거기서 비대위원장을 내정하고 동의를 구하는 방식이 옳을 것 같다"는 중재안을 내놨다.
박 원내대표는 "비대위원장 선출 방식을 논의한 뒤 선출해서 추후 중앙위가 열리면 거기서 추인을 받도록 하겠다"며 거듭 "민주당은 거듭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