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두 특위 간사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민주당 인사청문위원 1차회의에서 "인사가 만사(萬事)로 인사는 새 정부의 시금석이기 때문에 이번 청문회는 국정운영 능력 검증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밝혔다.
민 의원은 "북한 핵문제와 가계 부채, 국민대통합 등 산적한 현안이 많다"며 "김 후보자가 새 정부의 첫 총리로서 이같은 현안을 해결할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지난 대선기간 동안 여·야는 경제민주화와 복지 확대 등에 대해 상당한 사회적 합의를 이뤘다"며 "김 후보자가 경제민주화를 실천할 의지가 있는지 검증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새 정부 첫 총리의 도덕성은 이후 이뤄질 인사에 매우 중요하고 사회적으로도 도덕성 기준을 제고하는데도 의미가 있다"며 "김 후보자의 도덕성도 반드시 따져보겠다"고 말했다.
또 "인사청문회 도입 이후 위장전입과 탈세 등은 고위공직자 덕목에 맞지 않는다는 사회적 합의가 있었고 그에 맞춰 인사를 해왔다"며 "그러나 이명박 정부에 들어와 이같이 배제돼야 할 요인이 오히려 덕목이 되고 있어 반드시 이를 바로잡겠다"고 강조했다.
민 의원은 "이번 인사청문회에 임하면서 어떤 목표를 미리 정하지는 않겠다"며 "일부 언론이 말하는 저격수라는 표현은 옳지 않다. 진실의 추격자가 되겠다"고 덧붙였다.
청문위원으로 임명된 전병헌 의원도 "김 후보자는 박근혜 정부의 첫 단추를 꿰게 되는 총리로서 책임총리를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증이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예를들어 선별적 복지를 하겠다고 하는데 이것이 말은 쉽지만 실천하는 것은 복잡할 수 있기 때문에 로드맵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홍종학 의원은 "최근 서민경제가 어려운데 이 어려운 사정을 국무총리로써 어떻게 헤쳐 나갈지 살펴보겠다"며 "경제민주화와 양극화 문제, 복지 재원 마련 등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따져 볼 것"이라고 말했다.
최민희 의원은 "총리 후보자가 어떤 생각으로 후보직을 받아들였을지 궁금하고 박근혜 정부의 초대 방향을 어떻게 이끌지도 궁금하다"며 "이번 청문회에서 공정한 잣대와 공정한 검증과정을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