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이명박 대통령은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최근 북한의 핵실험 위협과 관련해 북한 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핵실험 징후에 철저히 대비하는 등 경계태세에 만전을 기하라고 지시했으며, "유사시에 대비해 미국 등 우방국과의 협력체제도 다시 한 번 점검하라"고 말했다. 이날 YTN은 중국의 고위 당국자의 말을 빌려 "중국이 북한의 핵실험을 막기 위해 고위급 인사 파견을 검토하고 있다"며 중국 역시 북한의 핵실험을 저지하기 위해 애쓰고 있음을 전했다. 또 중국 외교부 훙레이 대변인은 "중국은 한반도 긴장을 격화시키고 비핵화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어떠한 조처에도 반대한다"며 "중국은 북한 핵실험 움직임에 대해 깊은 우려를 하고 있다"고 북한이 경제 발전과 민생 개선에 힘쓰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나타내기도 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23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장거리 로켓발사에 대한 대북제제 결의안 채택에 반발하면서 조선반도 비핵화는 종말을 고했다는 취지의 외무성 성명을 발표했으며, 27일에는 김정은 제1비서가 고위 간부들과 모인 자리에서 '중대조치를 취할 단호한 결심'까지 표명했다. 이어 북한 노동신문에는 '핵실험은 인민의 요구'라고 핵실험 강행의 뜻을 밝혀 북한의 3차 핵실험 강행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다. 다수 매체에 의해 알려진 바에 따르면 핵실험장인 함북 풍계리 지역은 지휘통제시설과 관측 장비가 갖춰지는 등 핵실험 준비가 사실상 끝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중국은 지난해 11월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를 막기 위해 대표단을 평양에 보내 발사 철회를 설득했지만 북한이 발사를 강행한 바 있다. |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