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의원은 이날 오전 강 의장 집무실을 찾아 "제가 전문성을 살리고 열심히 할 수 있는 교육, 보건복지, 환경노동 등 3개 상임위 중 한 곳에 배정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안 의원은 또 상임위 배정 권한을 가진 강 의장을 찾아가지 않고 이학영 민주당 의원 등과 상임위 배정을 먼저 논의한 것에 대해서는 "의장께 전적으로 부탁해 부담을 드리는 것보다 사전에 작업을 한 후 요청을 드리면 일이 수월하게 풀릴 것이라 생각했다"고 해명했다.
안 의원은 노회찬 전 의원의 상임위였던 정무위원회에 가지 않으려는 이유에 대해서는 "정무위는 금융기관 등을 다뤄야 해 제가 가진 안랩 주식과 업무상 충돌할 수 있다"며 "의사 출신이고 여러 점에서 가고 싶은 곳이 보건복지위"라고 말했다.
강 의장은 "안 의원의 상임위 배정권한은 국회법 상 국회의장에게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회의장과 협의도 하지 않은 채 언론을 통해 안 의원의 상임위가 보건복지위원회로 결정된 것처럼 알려진 것은 잘못"이라고 지적했다. 비교섭단체 국회의원의 상임위 배정 권한은 국회의장에게 있음을 재확인한 것이다.
강 의장은 "안 의원의 상임위 배정은 여야간 '상임위 교섭·비교섭단체 의원 비율' 조정이 선행돼야 한다"며 "이 과정이 끝나야 내가 안 의원의 상임위 배정을 검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강 의장의 발언을 볼 때 안 의원의 상임위 배정은 국회법에 따라 원점 재검토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앞서 여야 원내대표가 합의했던만큼 보건복지위에 배정될 가능성도 남아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